[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전국 첫 ‘수소전소발전단지’가 탄소중립 선봉 충남도에 자리 잡는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26일 오후 도청 상황실에서 “오늘은 충남의 친환경 에너지 산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는 날”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김태흠 지사는 오성환 당진시장, 강기윤 한국남동발전 사장, 이병수 삼성물산 부사장과 ‘당진 그린에너지 허브’ 성공 추진을 위해 맞손을 잡았다.
전국 처음으로 청정수소를 연료로 전력을 생산하는 그린에너지 허브는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 일원 43만 6400㎡ 부지에 900㎿급(300㎿ 3기) 수소 전소 발전소와 300㎿급 대규모 에너지 저장 장치(BESS, 100㎿ 3기), 데이터센터 등으로 구성된다.
투입 예정 사업비는 수소 전소 발전소 2조 4000억 원, BESS 9000억 원, 데이터센터 1조 2000억 원 등 총 4조 5000억 원으로, 2032년까지다.
수소 전소 발전소는 당진 송산터미널에서 청정수소를 공급받아 무탄소로 전력을 생산, 인근 데이터센터와 산업단지에 공급하며, BESS는 태양광 발전에서 생산한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 데이터센터와 산단에 공급할 예정이다.
데이터센터는 수소 전소 발전소와 BESS를 통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전력이 청정에너지로 생산돼서 ‘RE100’을 실현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에 2032년까지 1200개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도는 이와 함께 ▲동일 규모의 LNG 복합발전 대비 연간 탄소 배출량 1000만 톤 감축 ▲화력발전 중심 전력산업 무탄소 전환 견인 ▲RE100 이행 지원을 통한 국가 간 무역장벽 해소 및 기업 해외 수출 경쟁력 제고 등의 효과 등을 기대하고 있다.
김 지사는 “당진 그린에너지 허브는 충남이 수소 경제와 디지털 경제를 선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전국 최대 석탄화력 발전단지에서 그린수소를 활용한 청정 고탄소 수소발전단지로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청정 전력 공급을 통해 디지털 경제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의 집적단지를 구축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속해서 김 지사는 “이제는 전력이 지역 경쟁력인 시대이며, 특히 청정에너지를 어떻게 공급하느냐에 따라 첨단기업과 산단 고부가치 산업이 입지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 프로젝트가 단초를 보여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오성환 시장은 “당진이 전국 온실가스 탄소 배출량이 최고인데 삼성물산이 들어옴으로써 장기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고, 2045년도에 탄소중립을 이룰 수 있게 협조해주셔서 감사하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