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대전기업] 페블러스, ‘페블로스코프’ 공개...글로벌 진출 가속화
[CES 2025 대전기업] 페블러스, ‘페블로스코프’ 공개...글로벌 진출 가속화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4.12.30 16: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ES 대전통합관 참가기업을 소개하다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도구 ‘페블로스코프’를 활용해 데이터 클리닉의 품질 분석 결과를 시각화한 예. 데이터셋 Birds 450 species (Kaggle) (사진제공=㈜페블러스)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도구 ‘페블로스코프’를 활용해 데이터 클리닉의 품질 분석 결과를 시각화한 예) 데이터셋 Birds 450 species (Kaggle) (사진제공=㈜페블러스)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페블러스(대표 이주행)가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빅데이터 및 AI 학습 데이터 품질 관리 전문 스타트업 페블러스는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 대전통합관으로 참가한다고 밝혔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CES에 참가하는 페블러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툴 ‘페블로스코프(PebbloScope)’를 중심으로, 첨단 AI 기술과 데이터 문해력을 결합한 고유 전략을 선보인다.

페블러스는 ‘데이터 클리닉(Data Clinic)’ 서비스를 통해 빅데이터 및 AI 학습 데이터의 품질 평가·개선 업무를 통합 제공해온 기업이다.

지난 CES 2024에서 데이터 품질 개선 솔루션을 강조한 바 있으며, 올해는 그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 툴을 웹 기반으로 진화시킨 ‘페블로스코프’를 최초 공개할 예정이다.

고차원 벡터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새로운 표준 제시

‘페블로스코프’는 고차원 벡터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술을 바탕으로, 방대한 AI 학습 데이터의 품질을 직관적으로 평가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AI 데이터 분석 및 품질 개선 분야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겠다는 것이 페블러스의 목표다.

이 기술의 주요 특징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직관적 데이터 이해를 위한 시각화 기능 제공이다.

페블로스코프는 복잡한 데이터셋의 특징을 직관적이고 인터랙티브하게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각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유사 커뮤니티 탐색 기능과 과밀·중복 영역 파악을 통해 앞으로의 데이터 수집 전략 수립, AI 성능 사전 예측, 규제 대응 가이드 마련, 데이터 다이어트(경량화) 및 데이터 벌크업(합성 데이터 추가)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스냅샵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강화가 꼽힌다.

이번에 공개하는 웹 기반 페블로스코프는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데이터셋에 대한 시각화를 활용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닌다. 데이터 탐색 중 문제가 발견되면, 즉시 ‘데이터 스냅샵’ 기능을 통해 해당 시점의 데이터 상태를 고유 주소로 저장하고, 이를 댓글이나 설명과 함께 SNS 등에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의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이 한층 원활해진다.

페블러스‘페블로스코프(PebbloScope)’의 차별화된 특징
페블러스 ‘페블로스코프(PebbloScope)’의 차별화된 특징 (사진제공=㈜페블러스)

페블러스 부스는 CES 2025의 유레카 파크, 베네시안 엑스포 Hall G, 부스번호 62857에 위치할 예정이다. 부스를 방문하는 참관객은 페블로스코프의 전 기능을 직접 체험하는 데모 시연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사전 예약 방문객에게는 데이터 클리닉 및 페블로스코프 체험판을 무료로 제공하는 특별한 혜택도 준비돼 있다.

페블러스 이주행 대표는 “AI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고차원 데이터의 시각화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며 “페블로스코프가 단순히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구를 넘어, 데이터 간 관계를 분석하고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