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약 10년에 걸친 케냐과학기술원 건립 사업 1단계가 사실상 완료됐다고 28일 밝혔다.
앞서 KAIST는 지난 11일 케냐 콘자혁신도시에서 개최된 케냐과학기술원 캠퍼스 완공식에 이어 이날 현장인수증명서를 발급했다.
케냐과학기술원(Kenya-AIST)은 KAIST가 축적한 과학기술 교육의 노하우를 현지의 필요에 맞춰 구현한 아프리카형 고등교육 모델이다.
과학기술 중심 고등교육기관 설립을 목표로 하는 우리 정부의 해외원조 사업으로 2019년부터 한국수출입은행 대외경제협력기금(유상차관)을 통해 본격 추진됐다.
KAIST는 2014~2015년 한국수출입은행이 발주한 타당성 조사 기관으로 선정돼 사업 전반의 기획을 담당했고 2019년 케냐 정부가 발주한 케냐과학기술원 건립을 위한 컨설팅 사업을 수주했다.
컨설팅은 KAIST가 사업총괄 및 교육설계를 담당하는 주관기관으로 참여한 가운데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가 건축 설계를 맡고 선진엔지니어링이 시공 감리, 시공은 보미건설이 담당했다.
이번 현장인수증명서 발급은 컨설턴트 주관기관으로 KAIST가 캠퍼스 시공 완료 후 발주처에 캠퍼스 인수를 정식으로 인증하는 절차다.
사업 초기부터 KAIST 소속 20여 명의 교원들이 자문 교수로 참여했으며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수영, 기계공학과 송태호, 생명과학과 김학성,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성풍현 교수에 이어 현재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김소영 교수가 사업단장을 맡고 있다.
특히 정근모 전 과학기술부 장관이 사업의 명예고문이자 케냐 대통령 고문으로 활동 중이며, 2008년 케냐 정부가 국가 중장기 발전계획인 ‘케냐 비전 2030’을 수립할 당시 KAIST 모델을 직접 케냐 대통령에게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업은 KAIST를 벤치마킹해 케냐 내 고급 이공계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케냐과학기술원 건립사업은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1단계에서는 교육설계, 시공 입찰, 건설과 감리 등이 이루어져 마무리됐고 이어지는 2단계에서는 교직원 연수, 행정교육, 실험실습 장비 고도화 등 운영 준비가 본격화된다.
초기에 개설되는 학과는 기계 및 원자력 공학, 전기 및 전자공학, ICT 공학, 화학공학, 토목공학, 농생명공학 등 6개 학과로, 기초과학은 별도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캠퍼스는 2021년 착공 후 3년 만에 마무리됐으며 케냐과학기술원 이사회가 주관으로 4월 11일 개최된 이번 완공식에는 윌리엄 카보고 케냐 정보통신디지털경제부 장관, 존 타누이 차관, 강형식 주케냐 한국대사를 비롯해 한국수출입은행, KAIST 컨소시엄, 보미건설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캠퍼스는 아프리카 최초로 우리나라 녹색건축 인증제도(G-SEED)가 적용됐으며, 케냐 실정에 맞춰 개발된 케냐판 G-SEED 평가에서도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케냐과학기술원이 위치한 콘자 혁신도시는 수도 나이로비에서 남동쪽으로 약 60km에 떨어진 지역에 조성되는 ‘실리콘 사바나’로 불리는 혁신클러스터로, 케냐 정부의 국가 중장기 계획인 ‘케냐 비전 2030’의 핵심 프로젝트이다.
김소영 건립사업단장은 “지난 10여 년간 헌신적인 수고를 아끼지 않은 모든 사업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리며, 양국 간 긴밀한 협력 끝에 결실을 맺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KAIST는 향후 2단계 운영 지원을 비롯하여, 케냐과학기술원이 자립적이고 지속 가능한 고등교육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중장기 협력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광형 총장은 “케냐과학기술원은 KAIST의 창의적 교육과 도전적연구 모델이 세계로 확산되는 대표 사례가 될 것"이라며 "이는 단순한 교육 수출을 넘어, 케냐 청년들이 케냐과학기술원을 통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여정에 KAIST는 든든한 동반자로 함께 하겠다”고 했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