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이기종 V2X 협력주행 통신기술 개발한다
ETRI, 이기종 V2X 협력주행 통신기술 개발한다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5.05.14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기종 V2X 기반 자율협력주행서비스 핵심 기술 개요도
이기종 V2X 기반 자율협력주행서비스 핵심 기술 개요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이(異)기종 차량용 통신(V2X) 기술을 활용한 자율협력주행서비스 핵심 기술개발을 시작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차량 간 실시간 소통뿐만 아니라 도로 인프라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異)기종 V2X(Vehicle to Everything) 기반 차세대 협력주행 통신기술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연구진은 일반차량, 보행자, 커넥티드(자율주행) 차량에 끊김 없는 연결성을 제공하는 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협력주행 ▲협력인지 ▲원격제어 등 세 가지 자율협력주행서비스를 개발키로 했다.

이번 기술은 차량과 차량(V2V), 차량과 인프라(V2I), 차량과 보행자(V2P), 차량과 네트워크(V2N)를 하나의 통합 플랫폼으로 연결하는 기술로, 미래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통해 레벨 4+ 자율주행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및 서비스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ETRI가 개발 중인 기술은 차량, 신호등, CCTV, 보행자(스마트 폰) 등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쓰는 다양한 인프라 간 실시간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이(異)기종 융합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주요 개발 결과물로는 ▲이(異)기종 네트워크 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장치(OBU) ▲이(異)기종 네트워크 기반 자율주행시스템 ▲자율협력주행서비스를 위한 엣지/인프라 서버 ▲원격관제 시스템 ▲보행자와 일반차량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이 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차량이 가변하는 네트워크 성능에 적합한 화질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 도로 인프라 및 서버가 이를 기반으로 분석·판단해 다시 차량에 제어 신호를 보내는 양방향 실시간 통신 및 차량제어 기술이 적용된다.

또 이번 기술은 5G, LTE, Wi-Fi, 특화망(KREONET) 등 다양한 무선망 환경에서도 유기적으로 확장 및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아울러 차량의 이동 속도, 통신 지연 시간, 영상 품질 등 복합적인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협력주행이 가능하도록 AI 기반 네트워크 최적화 기술 및 지능형 엣지서버 기술도 함께 개발된다.

ETRI는 이번 기술이 도시 내 교통사고 감소, 도심 혼잡 완화, 응급차량 우선 통행 지원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고속도로 군집주행, 스마트시티 교통관제, 고령자 보호를 위한 보행자 알림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로 기술을 확장할 계획이다.

최정단 AI로봇연구본부장은 “이번 연구는 단순한 차량 자율주행 기술을 넘어 도시 전체를 연결하는 ‘협력형 스마트 모빌리티’의 기반이 될 기술"이라며 "사람 중심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 생태계를 조성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개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KADIF)의 지원을 받아 추진된 ‘자율주행을 위한 이(異)기종 V2X 심리스(Seamless) 통신 기반 자율협력주행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올해 4월부터 2027년 말까지 진행된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