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관리법 개정 등 실질적인 정책 지원 요청
- 더불어민주당, 정비업계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공감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충남자동차정비사업조합(이하 충남카포스)은 23일(금) 충남 아산시 소재 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충남도당(위원장 문진석)과 정책 간담회를 개최하고, 미래차 전환에 따른 자동차 정비 산업의 현안과 중소 정비업체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문진석 충남도당 위원장, 홍기후 충남도의원을 비롯해 충남카포스 산하 15개 시군 지회 회장단이 참석하여 업계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충남카포스는 도내 약 800개 정비업체를 포함, 전국적으로 1만 8천여 개 중소 정비업체가 참여하는 전국적인 조직이다.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차 보급이 가속화되면서 자동차 정비산업은 구조적인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으나, 중소 정비업체들은 기술, 장비, 인력, 정보 등 모든 면에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운상 충남카포스 이사장은 간담회에서 "중소 정비업체의 어려움은 소비자 안전과 산업 경쟁력뿐만 아니라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국가 전략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정비업계의 '정의로운 전환'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남카포스는 이날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다양한 정책 제안을 전달하며 차기 정부와 국회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주요 건의사항은 변화하는 미래차 시대에 맞춰 법적 기반을 마련하여 중소 정비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매연 저감장치(DPF) 관련 지원 확대: 노후 경유차의 매연 저감장치 관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여 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관련 업계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전기차 보급에 발맞춰 안전하고 효율적인 정비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고, 외국인 정비인력 제도 개선: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정비인력에 대한 제도 개선을 통해 숙련된 인력 확보를 지원해야 한다.
문진석 충남도당 위원장은 "친환경차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정비업계의 준비는 아직 미흡하다"는 점에 공감하며, "자동차 정비 산업이 지속가능한 체계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정부와 제조업계가 재정적 지원과 기술 전수 등에 공동의 책임을 지고 제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간담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여 향후 정책 공약에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문 위원장은 "무너진 경제와 소상공인의 아픔을 다시 살릴 수 있도록, 이재명 정부가 희망을 주는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충남카포스의 적극적인 동참을 바란다"며 당부의 말을 전했다.
이번 정책 간담회는 미래차 전환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중소 정비업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정치권의 실질적인 지원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