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바꾸는 친환경 기술 개발
IBS,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바꾸는 친환경 기술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5.06.11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광 이용 폐플라스틱 수소 생산 설명도
태양광 이용 폐플라스틱 수소 생산 설명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재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입자 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과 현택환 연구단장, 김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햇빛만으로 폐페트병에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 광촉매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기술의 핵심은 광촉매를 고분자 하이드로겔로 감싸 안정화시키는 시스템으로 기존 기술 대비 내구성이 4배 이상 향상됐고 현장 적용성과 확장성 측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수소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청정 에너지원이지만,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테인 수증기 개질 방식은 고온·고압 조건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온실가스를 다량 배출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비해 광촉매 기반 수소 생산 기술은 무한한 에너지원인 태양에너지를 사용하고 온실가스의 배출이 적지만, 고효율 광촉매 반응의 경우 극한 반응 조건에서 촉매의 안정성과 수명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광촉매를 고분자 네트워크로 안정화한 뒤, 반응을 물-공기 경계면에서 유도하는 새로운 전략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기존 분말 촉매의 손실이나 반응 저하 없이 수소 생산성과 내구성을 동시 확보하는 것에 성공했고 강알칼리 조건에서도 두 달 이상 성능을 유지해 높은 내구성을 입증했다.

또 바닷물, 수돗물 등 다양한 수질 환경에서 작동 가능해 실용성과 확장성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함을 입증했다.

실용성과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폐페트병을 원료로 자연광 하에서의 1m2의 대면적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으며 10-100 m2 규모의 시뮬레이션과 경제성 분석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없이 저비용으로 수소 생산이 가능함을 증명했다.

김대형 부연구단장은 “폐플라스틱을 에너지 자원으로 전환하는 기술로 환경 문제 해결과 청정에너지 확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제시했으며, 재료 설계부터 반응 환경까지 통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친환경 촉매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한층 앞당긴 성과”라고 설명했다.

현택환 연구단장은 “자연광과 폐기물, 다양한 수질 환경 등 실제 조건에서도 고효율, 고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입증한 매우 드문 사례"라며 "기초과학 기반의 혁신 기술이 산업적 확장성과 사회적 파급력을 동시에 갖춘 단계로 발전한 만큼 수소 기반 탄소중립 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