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충남대학교는 수의과대학 권효정 교수와 의과대학 은혁수 교수 연구팀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영석 박사 연구팀과 비타민D가 만성 간질환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담관반응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의과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에 온라인 게재됐다.
기존 비타민D는 칼슘 흡수 촉진, 뼈 형성과 유지를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만성 간질환 환자들의 혈중 내 비타민D 수치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비타민D 결핍 시 간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그 효과와 작용 기전은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혈중 비타민D 농도와 만성 간질환 발생 위험을 비교 분석한 결과, 혈중 비타민D가 낮은 환자군에서 간질환 발생을 악화시키는 담관반응이 더 증가하고, 이는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의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
또 비타민D가 산화스트레스를 조절하는 ‘TXNIP’라는 유전자를 통해 담관반응을 억제하고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
권효정 교수는 “국내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증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간이식 외에는 현재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 없다”며 “이번 연구는 비타민D의 효과와 조절기전을 밝힌 의미 있는 연구로써 우리가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비타민D를 꾸준히 복용하면 만성 간질환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