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장내 미생물로 난치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일 방법 제시
KAIST, 장내 미생물로 난치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일 방법 제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5.07.01 0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내 미생물이 항뇌종양 면역치료 효율을 조절한다는 연구 개요도
장내 미생물이 항뇌종양 면역치료 효율을 조절한다는 연구 개요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장내 미생물을 이용해 난치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를 높일 방법을 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연구팀이 장내 미생물 생태계 변화에 주목해 교모세포종 면역치료의 효율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발굴하고 이를 입증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교모세포종이 진행되면서 장내에서 중요한 아미노산인 ‘트립토판(tryptophan)’의 농도가 급격히 줄어들고 이로 인해 장내 미생물 생태계가 변화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 트립토판을 보충해 미생물 다양성을 회복시키면 특정 유익한 균주가 면역세포 중 하나인 CD8 T세포를 활성화하고 종양 조직으로 다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생쥐 교모세포종 모델을 통해 트립토판을 보충하면 암을 공격하는 T세포의 반응이 향상되고 이들이 림프절과 뇌 등 종양이 있는 부위로 더 많이 이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장내에 존재하는 유익한 공생균인 ‘던카니엘라 두보시(Duncaniella dubosii)’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도 밝혀냈다. 해당 균주는 T세포가 몸 안에서 효과적으로 재분포하도록 도와줬고 면역항암제(anti-PD-1)와 함께 사용할 때 생존율이 유의미하게 향상됐다.

아울러 장내 미생물이 전혀 없는 무균 생쥐에게 위 공생균을 단독으로 투입해도 교모세포종에 대한 생존율이 높아졌으며 이는 이 균주가 트립토판을 활용해 장내 환경을 조절하고 그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산물이 CD8 T세포의 암세포 공격 능력을 강화하기 때문임이 입증됐다.

이흥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면역관문억제제가 효과를 보이지 않았던 난치성 뇌종양에서도, 장내 미생물을 활용한 병용 전략을 통해 치료 반응을 유의하게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