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침술로 여는 항암면역의 문
[칼럼] 침술로 여는 항암면역의 문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5.08.04 16: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한방병원 조정효 동서암센터장
대전한방병원 조정효 교수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암 치료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수술,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중심의 방식에서 면역치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종양 면역 미세환경(TIME)'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는 암세포 주변의 면역세포, 기질세포, 신경세포, 혈관 및 림프 구조 등이 구성하는 복합적 환경으로, 암세포의 생존, 성장, 전이, 면역 회피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면역미세환경은 암 치료의 새로운 표적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의학의 대표 치료법인 침 치료가 TIME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과학적 연구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특히 2023년 발표된 한 논문은 침 치료가 TIME 내 선천면역과 후천면역 체계를 조절함으로써 종양 면역 반응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학적·임상적으로 주목할 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선천면역은 외부 병원체에 대한 신속한 방어반응을 담당하며, 면역 시스템의 첫 번째 방어선이다. 침 치료는 이 선천면역 요소 중 여러 세포군에 영향을 미친다.

자연살해세포(NK 세포)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주요 세포로, 침 치료는 이들의 수와 활성을 증가시키며, 인터페론-γ(IFN-γ), IL-2, TNF-α 등의 면역 사이토카인 분비를 촉진해 종양 억제에 기여한다. 특히 전기침(EA)은 항암화학요법으로 유도된 면역억제 모델에서도 NK 세포의 독성능을 회복시켜, 면역력을 재건하는 데 효과적이다.

대식세포는 또다른 핵심 선천면역세포로 염증 유발형(M1)과 면역억제형(M2)으로 분화되는데, 침 치료는 이 균형을 M1 쪽으로 유도하여 종양성 면역억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한다. 이는 IL-10 감소, TNF-α 억제, 조직 내 세포 내 환경 정상화와 연계된다.

비만세포는 조직 내 염증 반응과 관련되며 TIME에서 종양혈관 신생과 면역조절에 깊이 관여한다. 침 자극은 비만세포의 탈과립 작용을 조절하고, 조직 내 히스타민 분비를 변화시켜 면역 반응을 국소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중추신경계의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는 뇌전이와 관련된 TIME 내 변화를 유도한다. 침 치료는 TLR4/NF-κB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신경 염증과 통증 과민반응을 완화시켜, 암성 통증과 신경전이 환경 조절에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

후천면역은 특정 항원을 인식하고 기억하는 면역계로, 암세포를 표적으로 삼는 면역 반응에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 침 치료는 후천면역의 주요 구성 요소인 T세포와 B세포에 작용하여 TIME 내 면역 균형을 조절한다. 세포성 면역의 핵심인 T세포 중 CD8+ 세포독성 T세포는 종양세포를 직접 제거한다. 그러나 종양환경에서는 PD-1/PD-L1, CTLA-4 등 면역관문 단백질에 의해 그 활성이 억제된다. 침 치료는 이러한 억제경로의 발현을 낮추고, CD3+, CD4+, CD8+ T세포의 비율을 회복시킴으로써 면역기능을 정상화한다.

실제로 골전이성 통증을 가진 실험쥐 모델에서 전기침은 T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며 통증 완화 효과와 함께 면역반응 회복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는 오피오이드 기반 약물과는 다른 기전을 가지며, 보완·대체의학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 B세포는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로 침 치료는 상황에 따라 항체 분비를 억제하거나 증가시키는 이중 조절 기능을 한다. 수술 후 면역억제 상태에서는 IgG, IgA, IgM 수치를 증가시켜 회복을 촉진하고, 자가면역 질환이나 알레르기에서는 과도한 항체 생성을 억제해 면역 균형을 회복하는 작용을 한다.

TIME은 그 구조와 조성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세포 간 상호작용과 신호전달 경로가 얽혀 있다. 한의학의 침 치료는 이러한 복합성을 ‘전신적 조절’이라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특히 ‘정기(正氣)를 보하고 사기(邪氣)를 제거한다’는 고전적 개념은 면역기능 회복이라는 현대의 치료목표와도 궤를 같이 한다.

물론 현재까지의 연구는 동물실험과 임상 전단계 수준이 많으며, 침 치료의 구체적 분자기전, 용량-반응관계, 시술 표준화 등에 있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TIME을 조절하는 다중 타깃의 면역 기전은 기존 단일 타깃 약물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침 치료가 향후 면역항암치료의 보조 또는 증강 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가 가진 가장 오래된 의술이, 가장 최신의 치료 전략에 새로운 가능성을 더하고 있다. 침 치료는 단순한 대체요법이 아닌, 암 치료의 중요한 한 축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항암면역의 문을 여는 조용한 열쇠가 될 수 있다. 자연과 인체의 조화에서 출발한 한의학이, 암이라는 현대의 질병과도 조화롭게 만날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큰 희망을 준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