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이처럼 불완전한 정보만으로도 고차원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복원하는 AI ‘마리오(MARIOH)’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재철AI대학원 신기정 교수 연구팀이 저차원 상호작용 정보만으로 고차원 상호작용 구조를 높은 정확도로 복원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인 ‘마리오(MARIOH)’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MARIOH의 핵심 아이디어는 저차원 상호작용의 다중도 정보를 활용해 해당 구조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고차원 상호작용의 후보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있다.
효율적인 탐색 기법을 통해 유망한 상호작용 후보를 신속하게 식별하고 다중도 기반의 심층 학습 기술을 활용해 각 후보가 실제 고차원 상호작용일 가능성을 정확하게 예측한다.
연구팀은 10개의 다양한 실세계 데이터 셋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MARIOH는 기존 기술 대비 최대 74% 높은 정확도로 고차원 상호작용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MARIOH는 논문 공저 관계 데이터에선 98% 이상의 복원 정확도를 달성해 약 86% 수준에 머무는 기존 기술을 크게 앞질렀다. 또 복원된 고차원 구조를 활용할 경우, 예측, 분류 등 다양한 작업에서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기정 교수는 “MARIOH는 단순화된 연결 정보 정보에만 의존하던 기존 접근에서 벗어나, 실제 세계의 복잡한 연결 관계를 정밀하게 활용할 가능성을 열어 준다”며 “단체 대화나 협업 네트워크를 다루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단백질 복합체나 유전자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생명과학, 다중 뇌 영역 간 동시 활동을 추적하는 뇌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