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예심 통과 ‘노타’, 이동형 ESS 등 기술 개발 성과 시연
[충청뉴스 박영환 기자] 충남도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3일 내포신도시 KAIST 모빌리티연구소에서 기술 시연회를 개최했다.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 이용록 홍성군수, 입주 기업 임직원, 주민과 학생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연 이날 시연회는 장기태 모빌리티연구소장의 운영 성과 발표, KAIST 교수진과 입주 기업이 협업 연구를 통해 개발한 혁신 기술 시연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KAIST 모빌리티연구소는 도와 KAIST가 지난해 4월 설립 협약을 체결한 이후 6개월여 만인 같은 해 11월 초고속으로 문을 열었고, 개소 10개월여 만인 현재 입주 기업은 25개에 달하고 있다.
이날 시연회에서는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ESS) 기반 수요 대응형 전력 플랫폼 등 6개 신기술이 선을 보이고, 코스닥 예비 심사를 통과한 ‘노타’의 컴퓨팅센터 견학도 진행했다.
먼저 ▲이윤구 교수는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ESS) 기반 수요 대응형 전력 플랫폼 기술 ▲김태균 연구원은 ‘내포 디지털 트윈’ ▲김인희 교수는 원격 주행 기술▲최근하 교수는 중소기업 특화형 자율주행로봇(AMR) ▲안희진 교수는 독자적으로 개발·구축한 실내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를 시연했다.
시연에 이어서는 지난 7월 코스닥 상장 예비 심사를 통과한 노타가 AI 컴퓨팅센터를 공개했다.
노타 측은 건물 태양광발전 유휴 전력을 활용, RE100 달성을 위한 친환경 AI 컴퓨팅센터 모델을 설명했다.
또 자사 주력 분야인 AI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을 소개하며, 충남도 및 모빌리티연구소 입주 기업과의 협력 비전도 제시했다.
전형식 부지사는 "앞으로도 KAIST 모빌리티연구소 입주 기업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한편, 젊은 사업가들이 모여 연구·개발하고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스타트업·벤처 육성 정책을 마련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연구성과가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드는 모습을 뜻깊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기업과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