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국내 노지 사과밭에 첨단 인공지능 스마트양액 시스템이 도입되며 농업혁신의 새로운 장이 열리고 있다.
대전의 스마트팜 전문기업 ㈜루켄이 개발한 이 스마트양액 시스템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 2025년도 기술융복합 현장적용사업에 선정돼 현장실증 및 사업화를 통해 안정적 제품 성능과 효과도 입증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앱을 통해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작물 관리가 가능하며, 농작물 특성에 맞춰 양액·관수·스마트기기 제어를 자유롭게 스케줄링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작물별 생육단계, 환경 조건에 따라 급수 및 양액 공급을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어 기존 노지 농업의 한계를 극복하는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실시간 환경데이터 분석과 사과나무 생육정보에 따라 각 식물에게 최적의 영양을 자동 공급하며, 작물마다 EC, pH 등 목표값을 세밀하게 제어한다. 이와 함께 관수, 양액공급뿐 아니라 비닐하우스 커튼, 환기팬 등 다양한 스마트기기 연동제어까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국내뿐 아니라 베트남 현지 농장에서도 설치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현지 작물 생산성 향상과 양액공급 효율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얻는 등, 글로벌 시장 수출 확대도 이어가고 있다.
㈜루켄 관계자는 “노지 사과 재배환경에 맞춘 인공지능 스마트양액기가 농가 생산성과 품질혁신을 이끌 뿐 아니라, 앱 기반의 간편성, 유연한 스케줄링, 스마트기기 연동으로 미래 농업의 표준이 되고 있으며, 국내외 현장실증과 정부사업 연계로 제품의 안정성을 확실히 검증받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