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 전 과정에 AI·디지털 전환 “2030년까지 자율 운영 수도체계 실현”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지난 12일 대구 EXCO에서 ‘Smart Water에서 AI Water로의 진화’를 주제로 ‘상수도 AI 전환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국제물주간(KIWW 2025)과 연계해 열렸다.
이날 심포지엄은 상수도 AI 전환(AX)의 방향과 전략을 공유하고 AI 기반 수도관리의 미래 과제와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100여 명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정부의 AI 3대 강국 정책 기조에 발맞춰 정수장과 관로 등 상수도 전 과정을 AI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반 예측, 진단, 운영 기술을 수도 전반에 단계적으로 적용해 2030년까지 자율 운영체계를 구축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수도서비스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변화는 공사가 축적해 온 Smart Water Management(SWM) 경험과 AI 정수장, 디지털트윈 등 3대 초격차 기술을 토대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한국수자원공사는 운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조회하고 현장에서 데이터 기반의 수도 관로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솔루션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장소 제약 없이 관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솔루션 ‘water-NET Field’와 수도 디지털 기술을 직접 체험·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함께 소개됐다.
이날 전문가 토론회에서는 대한상하수도학회 권지향 회장을 좌장으로, 홍승관 한국물산업협의회 회장과 어재경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단장, 김지훈 KT 상무가 ▲상수도 AI 연구전략 ▲AI 물 산업 육성 방향 ▲공공분야 AI 추진 방안 ▲물 인프라 분야 IT 기업 협력방안 등을 논의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물 분야 AI 연구 및 생태계 활성화의 동력을 확보하고, 상수도 AI 전환 추진의 공감대 확산으로 산업계에는 공공과 민간의 연구개발 협력 기회를, 학계에는 AI 모델 공동연구 기반을 확대할 계획이다.
문숙주 한국수자원공사 수도부문장은 “AI 기술의 발전 속도만큼 수도산업에서도 기술개발과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라며,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산·학·연 협력을 한층 강화해 데이터와 기술을 기반으로 한 AI 수도관리 혁신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