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테크노파크는 지난 24일 오후 대전 오노마호텔에서 대전광역시, 대전시-KAIST 전략사업연구센터와 함께 국방반도체(GaN RF) 기술자립과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혁신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최근 대전광역시-한국과학기술원(KAIST)-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한화시스템-대전TP 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이후 처음 열린 논의 자리다.
포럼에는 중앙부처와 지자체, 연구기관, 산업계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책·기술·산업 분야를 아우르는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정책 세션에서는 ▲국방반도체사업단 조준호 선임연구원의 국방반도체 산업의 발전 전략과 정책 방향 소개 ▲ETRI 강동민 RF·전력부품연구실장의 국내 기술 현황과 생태계 구축 방안이 공유됐다.
이어진 기술·산업 세션에서는 ▲한화시스템 홍윤석 소장의 무기체계 적용 및 파운더리 활용 전략 ▲LIG넥스원 선웅 소장의 산업 현장 수요 및 기술 적용 방향 발표가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국방반도체 핵심 기술인 GaN RF(갈륨나이트라이드 기반 고주파·고출력 반도체) 분야는 단일 기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공공팹 구축과 설계 역량 확보, 전문 인력 양성, 기업 협력체계 조성 등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통합적 협력 생태계가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KAIST, ETRI, 대전TP 등 국가 핵심 연구기관과 산업 기반이 집적된 대전은 이러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춘 지역으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대전이 정책 기획부터 기술 로드맵 수립, 기업 지원, 인력 양성까지 전 주기 체계를 구축하며 국방반도체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우연 대전TP 원장은 “국방반도체는 국가 안보와 미래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분야”라며 “대전TP는 대전이 보유한 연구·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기술 개발부터 산업 구축까지 이어지는 국방반도체 협력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