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정부3.0’ 정책 성공의 뒷받침이 될 지역별 버전인 ‘지방3.0’ 정책 추진을 위해 적극 나섰다.
대전시에 따르면 6일 오후 시청 세미나실에서 염홍철 시장을 비롯해 교수, 전문가, 관련기관 및 업체 담당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조적 공공데이터 개방과 시민참여 촉진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는 워크숍에서 대전시가 지난 9월 안전행정부의 지방3.0 선도과제 공모해 예산부분 최우수 과제로 선정된 ‘시민참여형 공공시설 안전관리 맵 서비스사업’에 대한 주제발표를 할 예정이다.
시가 발표하는 본 사업은 맞춤형 서비스에 의한 시민참여를 촉진시키고, 일자리와 비즈니스 창출의 파급효과가 큰 공공데이터 개방의 대표적인 성공사례의 하나가 될 수 있도록 사업의 완성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며 이를 시민들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합동토론에서는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 시민 맞춤형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방안, 시민들의 관심 유발 등 성공적인 공공데이터 개방을 위한 기본과제 등 공공정보 공개를 통한 일자리와 신성장 창출 방안 등이 세부적으로 토의된다.
염홍철 대전광역시장은 “정부 3.0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버전인 지방 3.0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시민에게 꼭 필요한 공공정보 공개와 정보의 활용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방 3.0’은 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정부 3.0’을 ‘지방 3.0’으로 변경해 각 지자체별 여건과 특성을 담은 시책 발굴과 실현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행정정보 공개, 공공데이터 개방은 지방3.0이 기존 정부혁신과 가장 차별되는 특징이다.
이에 시는 지난 7월 ‘지방 3.0 세부추진계획(5개년)’을 수립하고 사회적, 경제적 가치가 높은 공공데이터를 개방해 민간의 다양한 비즈니스 창출 기회를 제공하고, 관련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있으며 민․산․학․연으로 구성된 민간자문위원을 위촉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