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수해 골프'로 물의를 빚은 홍문종 전 경기도당위원장을 제명하는 등 최근 물의를 빚은 당내 인사들을 징계하기로 했다.
한나라당은 24일 오전 4시간에 걸친 윤리위원회 끝에 지난 21일 수해 피해가 극심한 강원도에서 골프를 쳐 물의를 빚은 홍문종 전 경기도당 위원장을 제명하기로 했다.
제명은 한나라당 당규상 가장 강력한 징계 조치다.
한나라당은 또 홍 전 위원장과 함께 골프를 친 김철기, 김용수 부위원장과 이재영 평택을 당협위원장, 홍영기 용인갑 당협위원장, 이연수 중앙위 청년분과위원장에 대해선 각각 당원권을 1년간 정지하기로 했다.
또 골프는 같이 치지 않았지만 당일 저녁 식사에 합류한 원외인사 3명에겐 각각 경고 조치를 내렸다.
이와 함께 한나라당은 수해 기간 부적절한 처신과 발언으로 논란이 된 당 소속 지방자치단체장들도 징계하기로 했다.
호남 비하 발언으로 물의를 끼친 이효선 광명시장에게는 당원권 정지 1년 조치가 내려졌고, 수해중 휴가를 간 엄태영 제천시장과 이른바 '수해 음주가무'로 물의를 빚은 김동성 단양군수에겐 각각 경고 조치를 내렸다.
△ 홍문종 전 위원장 1명만 중징계..또 제식구 감싸기?
이날 윤리위의 징계수위 결정에는 사실 국민들의 시선이 쏠려있었다. 그렇잖아도 한나라당이 지난 지방선거 이후 오만해진 것 아니냐는 여론의 비판을 받고 있는 와중에 잇따라 터진 사건들이어서 당이 어떤 조치를 내릴지에 관심이 컸다.
홍문종 전 위원장을 제명하기로 한 것도 국민 여론을 의식한 상징적인 조치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홍 전 위원장 외에 나머지 인사들에 대해선 솜방망이식 처벌을 내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징계 규정은 크게 제명, 탈당 권유, 당원권 정지, 경고 등 4단계로 나눠지는데, 윤리위로부터 중징계에 해당하는 조치를 받은 사람은 홍 전 위원장뿐이었고, 나머지 인사들은 모두 경징계를 받는데 그쳤다.
결국 국민 비난이 워낙 크다는 점 때문에 상징적인 조치를 취하긴 했지만, 지방자치단체장 등을 경미하게 징계한 것은 제식구 감싸기 아니냐는
또다른 비난 여론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