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지난 14일(금) 한․중 FTA 실질적 타결에 따른 유관기관 실무대책회의를 개최하고 한․중 FTA 발효대비 ▲실무대책협의회 구성 ▲체계적 연구용역 추진 ▲시민홍보 ▲기업․통상․농업분야 지원 등 4가지 대응전략을 밝혔다.

이번 실무대책회의는 대전시 경제․기업․산업․통상․농업분야 담당공무원과 대전상공회의소 FTA활용지원센터, 한국무역협회 대전충남지역본부, 대전발전연구원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한․중 FTA가 대전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대전시는 이날 도출된 의견을 토대로 중국은 수출입 규모 상 최대 통상 교역국으로 대부분 기술력을 갖춘 공산품 위주의 수출로 흑자를 유지하고 있어 한․중 FTA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전망하면서 값싼 중국산 제품 및 농축산물 수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분야별 추진계획을 마련했다.
먼저, 한․중 FTA의 발효대비 홍보․연구, 기업지원, 통상지원, 농업지원 4개 팀으로 구성된 ‘한․중 FTA 실무대책협의회’를 경제산업국에 구성하고,
산업통상자원부의 한․중 FTA에 대한 ‘피해영향분석’과 우리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전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용역’ 결과에 따라 한․중 FTA 발효 시 실질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
한편, 이창구 대전시 경제산업국장은 최근 한․중, 한․뉴질랜드 FTA 타결로 우리나라 경제영토가 세계 3위로 도약되는 시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은 FTA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피해가 우려되는 농업에 대해서는 철저한 준비와 지원을 통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14일, 한․중 FTA 관련 실무대책회의 개최 대응전략 마련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