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에서 추진 중인 엑스포국제전시구역내 ‘과학기술창조의전당’ 건립공사(대전시 도룡동 4-19번지 외 1필지)가 당초 턴키방식(일괄수주계약)으로 계약해 놓고도 설계변경을 거쳐 179억8000만원을 증액해 특혜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과학기술창조의전당’ 건립 사업은 대덕연구개발특구,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시 회의 수요확대, 컨벤션 전문가 및 설계․시공․감리자등 관련 전문가들로부터 회의중심의 컨벤션센터 건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의해 481억1600만원의 사업비가 책정돼 내년말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대규모 사업이다.
문제는 대전시에서 2004년 11월 ‘과학기술창조의전당’ 기본설계 시 주차장 규모를 225면으로 설계했다가 석 달 뒤인 2005년 2월 교통영향평가에서 지적된 주차문제를 근거로 520면으로 주차공간을 확대하면서 179억8000만원 늘려 660억9600만원으로 사업비를 수정하는 등 합법을 가장한 특정 건설업체 봐주기(?)란 의혹이 제기됐다.
건설업체 관계자는 턴키방식으로 계약한 공사는 도중에 설계변경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업비 또한 변동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설계변경의 불가피한 사유로 “타 지역 컨벤션 센터보다 규모가 작어 대규모 국제회의 유치에 어려움이 예상 된다”는 것이다.
“市, 턴키계약 설계변경 한 번도 없어. 1억도 아닌 179억 증액 이해 안가"
하지만, 지역 건설회사 대표 이모 씨는 “대전에서 20여 년간 건설업에 종사했지만 관공서에서 턴키방식 계약 후 설계변경을 해준 적이 없다”며 의혹을 제기하고, “공사비를 1억도 아닌 179억을 증액시켜주는 것은 비호세력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라면서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또, “설계변경 추진 당시 자신이 평소 알고 지내던 대전시 일부 공무원들 중에서도 예산낭비라며 반대한 사람들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당시 시 관계자들 반대의사에도 결정권자가 밀어붙여
실제로 설계변경이 추진될 당시 대전시 일부 공무원들은 무리한 설계변경보다는 엑스포과학공원내 무역전시관 주변을 활용하면 주차공간이 많이 필요 하지 않음을 들며 반대 의사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시 반대의사를 밝힌 한 공무원은 “무리한 설계변경을 지적했지만 힘이 약해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고 자책하며 “도시철도공사, 월드컵경기장, 엑스포과학공원에 이어 과학기술창조의전당도 적자경영이 예상돼 대전시의 부채가 눈 덩이처럼 불어날 것이 확실하다”면서 대책마련의 시급함을 제기했다.
대구·부산 컨벤션센터 활용도 20%로 적자내고 있어
그는 이어서 “대구와 부산도 컨벤션센터 활용도는 20% 정도에 머물러 적자를 내고 있음에도 한마디 언급도 하지 않고 규모가 작다고 확대하는 것은 반성해야 한다”며 “컨벤션센터 운영으로 돈을 벌수 있다는 환상은 버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과학기술창조의전당 건립사업은 시비와 국비를 확보하지 못한 채 무리하게 추진하다 명시이월(明示移越) 됐었으며, 감사원에서도 “철저한 계획 후 추진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내년 말(2007.12.31) 준공을 목표로 엑스포국제전시구역 내에 연면적 42.686㎡(12,912평), 지하 1층, 지상 4층-14층 규모로 건립중인 과학기술창조의전당은 총 공사비 660억9600만원(시 479억1800만원/연구단지 181억7700만원)을 들여 1만1000평 규모로 지어지는 대규모 사업이다.
한편, 과학기술창조의전당 시공사로는 (주)대우건설, 현대건설(주), 계룡건설산업(주)등 3개 사가 참여하고 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