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네오콘'은 북핵 문제 해결 바라지 않아" |
김대중 전 대통령이 '북한도 미사일을 시험 발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김 전 대통령은 28일 김대중도서관으로 자신을 예방한 문성현 대표 등 민주노동당 지도부를 만난 자리에서 "국제적으로도 미사일 발사는 북한에게도 권리가 있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민노당 문성현 대표가 '미사일 발사 이후 (남한 정부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중단한 것은 안타깝다'고 지적하자 김대중 전 대통령은 "정부 입장은 이해해야 할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민주노동당이 지적한 사항은 (정부가) 잘 한 것은 아니지만, 정부로서도 국제적 환경으로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은 "현 정부가 뭘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며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사태 이후 노무현 정부의 대응 자세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김 전 대통령은 "지금은 미국의 '네오콘'이 한반도 문제를 좌지우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가 판단을 잘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네오콘은 북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기를 바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네오콘은 북한을 악당으로 만들어 MD(미사일방어체제) 문제를 해결하고, 일본은 재무장 방향으로 가는 것 같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김대중 전 대통령은 "북한이 네오콘과 일본 강경파가 좋아할 일만 하고 있다"고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다. 김 전 대통령은 "(북한이) 왜 미숙한 행동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BDA(방코델타아시아은행) 문제도 '6자회담에 나가서' 따져야 하는데 왜 나가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미국이 주장하는 달러 위조 등) 범죄 행위가 없으면 6자회담 자리에서 '증거가 있냐'고 당당하게 싸워야 세계 여론을 장악할 수 있는데, '회의에 불참하겠다'고 하니 전 세계 여론의 비판에 부딪히고 중국과의 관계도 악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자신의 방북이 외부적 상황에 의해 계속 지연되는 데 대한 아쉬움도 깊게 드러냈다. 김 전 대통령은 "네오콘도 일본도 현 상황에 만족하고 있고 중국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는 만큼, 북한이 6자회담을 끌고 가야 한다"며 "북한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얘기하고 토론해 보려 방북을 희망했는데 안타깝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중 전 대통령이 '북한도 미사일을 시험 발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