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안부 삭제' '일제 토지 수탈 사실 아니다'…일제강점기 서술부분 논란 |
![]() 31일 서울대에서 열린 뉴라이트 진영의 교과서포럼의 '한국근현대사 대안 교과서'에 대한 심포지엄은 5·16 쿠데타를 미화하고 4·19를 격하했다는 이유로 관련 단체들의 거센 반발을 사면서 결국 무산됐다. 문제의 교과서는 현대사 부분 뿐 아니라 일제강점기에 대한 서술도 현행 역사 교과서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또 다른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이 교과서에는 우선 일본 정부도 인정하는 종군 위안부의 존재를 삭제하는 등 일제강점기 우리나라가 입은 피해상은 외면한 채 근대화라는 결과만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는 사회간접자본의 확충, 시장기구의 발달, 무역의 성장, 농업의 개발, 광공업의 발달, 산업구조의 고도화, 도시화의 진전 등을 담고있는 '식민지적 근대의 전개'라는 장(chapter)에 잘 나타나 있다. 이 같은 인식은 이 교과서가 일제 통치를 '강점' 대신 '합병'이라고 규정한데서도 상징적으로 읽혀지고 있다. '합병'은 일제 침략의 의미를 상당히 축소시킨다고 해서 최근 교과서에는 대부분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 문화통치의 일환으로 발간을 허용한 신문과 잡지 등으로 인해 "20년대 한국은 문화 민족운동의 르네상스기를 맞게 되었다"고 적고 있는 부분도 눈에 띈다. 지난해 초 고려대 한승조 전 명예교수가 일본 극우 대변지인 '정론(正論)'에 기고한 글을 연상케 하는 대목들이다. 한 교수는 당시 "일본의 한국에 대한 식민지 지배는 오히려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며, 원망하기보다는 오히려 축복해야 하며 일본인에게 감사해야 할 것"이라고 고백한 바 있다. 교과서는 또 조선총독부가 토지조사사업으로 조선 농민들의 토지를 상당부분 약탈했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라고 봤다. "많은 조선인이 조선총독부에 토지를 빼앗겼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는 조선을 강제 병합하여 식민지로 지배한 일본 침략성을 비판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말"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특히 "일본이 토지 조사 사업을 시행한 것은 조선을 식민지로 지배하기 위해서는 근대적 토지제도 및 재산제도를 확립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정당성을 부여했다. 급기야 "일제의 강력한 집행력으로 보건위생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인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1920-1930년대에 일본과 만주로 대거 '이민'이 발생했다"고 서술했다. 많은 조선인들이 일제의 폭정에 의해 마지못해 만주와 일본 등으로 '유랑'을 떠났다고 보고 있는 현행 교과서의 인식을 정면으로 거스르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일제 하 농민의 빈곤, 비참한 생활상도 일제의 정책이나 지주의 착취 탓으로만 돌릴 수 없다"며 이는 "기본적으로 인구조건 및 낮은 생산성에 기인한 것으로 빈곤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고 기술한 부분도 논란거리다. 또 '쌀수탈'은 "쌀을 수탈당해 가난해졌다는 속설도 있으나 이는 잘못되었다"며 "전시 하의 공출을 제외하고는 일제 당국이 강제로 쌀을 수탈한 것은 아니었다"고 적어 놓은 것도 일제를 두둔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교과서는 이처럼 일제강점기 근대화 부분에 대해서는 40여 페이지를 통해 장황하게 서술하면서도 독립운동의 근간이 되는 20년대 만주나 서간도 지역의 항일무장투쟁은 단지 7줄의 한 단락만으로 서술하는 편파성을 보였다. 교과서포럼측은 이번 교과서로 논란이 일자 "아직 완성이 덜 된 시안"이라며 한발을 뺐지만 이 같은 내용들은 마치 일본의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후쇼사 교과서를 옮겨 놓은 듯 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한편 교과서포럼의 공동대표인 이영훈 서울대 교수는 그 동안 몇 차례 일본군 위안부 숫자가 과장됐다는 발언 등을 해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