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정지원 사라진 뒤 법률에 따라 '강제 통합' 가능성도… |
|
대전·충남지역 국립대학들의 통합 논의가 1년 가까이 '제자리 걸음'만
맴돌고 있다. 충남대가 최근 행정도시 입지를 위해 통합을 다시 추진해보자고 나섰지만, 공주대와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대전·충남지역 국립대 통합은 과연 언제쯤 이뤄질 것인가? 충남대와 공주대는 지난해 11월 통합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조인하고 지역 국립대 통합을 추진해 왔으나 사실상 무산된 상태다. 통폐합 방향과 추진 방법 등을 놓고 서로간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국내 최초로 국립대 통합을 이뤄냈고, 부산지역도 부산대와 밀양대가 통합한데 이어, 4개 국립대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한참이나 뒤쳐진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지역 국립대의 위기이면서도 기회로 작용할 수 있는 계기가 찾아왔다. 교육인적자원부가 행정도시 내 국립대 진입 원천 불가 방침에서 한발 물러서 대학간 통폐합, 법인화를 행정도시 입지를 위한 구체적 조건으로 제시한 것이다. 충남대 양현수 총장은 "공주대와의 통합이 성사될 수 있도록 총장직을 포함한 모든 양보와 희생을 감수하겠다"며 통합 논의 재추진을 공주대에 제의했다. 하지만 공주대는 ‘교명변경 문제’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에서 다분히 비현실적인 통합 제의를 성급하게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는 신중한 입장이다. 아무리 급해도 바늘 허리에 실을 꿸 수 있겠냐는 것이다. 여기에는 '예산농전과 천안공대 등을 통합시킨 공로를 단숨에 충남대로 넘겨줄 수 없다'는 속내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국립대 통합과 연계된 중앙 정부의 재정 지원마저 사라진 뒤 대전·충남지역 국립대학들이 법률에 따라 강제로 통합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기다리고 있다는 점이다. 대전CBS 조성준 기자 dr7csj@cbs.co.kr |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