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충재 행복청장, 종합사업관리 명품도시 건설 많은 기여
이충재 행복청장, 종합사업관리 명품도시 건설 많은 기여
  • 최형순 기자
  • 승인 2017.01.04 12: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년간 축적된 종합사업관리기법(MPAS)은 국내·외 모범사례로 벤치마킹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이충재청장은 장기간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관리를 위해, 2007년부터 행복도시에 특화된 종합사업관리시스템(MPAS*)을 도입하여 성공적인 1단계 건설을 완료하고, 2단계 건설에도 계속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PAS: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Program Administrative System의 약자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에 대한 일정, 투입자재, 공정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

4일 이충재 청장은 “그 동안 종합사업관리를 통해 행복도시 1단계 건설을 차질 없이 완수하고 도시 가치를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며, “앞으로도 명품도시 건설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종합사업관리시스템(MPAS)은 행복도시 건설 과정에서 약 107조원 규모의 공공 및 민간부문 사업이 동시 다발적으로 지속 시행됨에 따라, 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지난 2007년 국내 최초로 도입되었다.

행복청은 그간 종합사업관리시스템(MPAS)에서 검토·분석된 공정데이터를 기초로 공정관리 및 간섭사항 조정 등을 시행하여 정부청사 이전, 비알티(BRT) 개통 등의 1단계 사업을 차질 없이 완수하는데 큰 도움을 받았다.

특히, 2008년부터는 행복청장 주재 하에 공정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관계기관 합동 ‘종합사업관리 확대간부회의‘를 총 89차례 개최하여 주요사업 추진현황 점검 및 각종 쟁점을 신속히 해결하였다.

또한, 행복도시에서 10년간 축적된 종합사업관리기법(MPAS)은 국내·외 모범사례로 벤치마킹되고 있으며, 국제사업관리협회 학회와 사우디아라비아 도시건설포럼에 현황이 소개되어 우수성이 입증된 바 있다.

* 아제르바이잔 환경천연자원부 장관 방문(‘09년), 4대강살리기사업, 평택미군기지이전사업, 새만금사업 등에서 벤치마킹 실시했다.

한편, ‘2017년 종합사업관리’는 기존의 사업관리 업무 외에도 자족기능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2017년 중점관리대상 3대 권역*’을 집중 관리하고 ‘행복도시 종합사업관리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행복도시 활성화에 앞장설 계획이다.

* 3대 권역: ①도시상징광장 및 어반아트리움 등 문화벨트존(Zone), ②산학연클러스터 중심 세종테크밸리존(Zone), ③통합설계 특화존(Zone) ** 종합사업관리 심포지엄: 한국건설관리학회 주관, 국내․외 약 200명 참여(5.18)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