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인력지원 사업 돈먹는 하마
중소기업 인력지원 사업 돈먹는 하마
  • 김거수 기자
  • 승인 2007.10.25 23: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선택'해외 기술인력 도입 사업, 박사급 연구원 유입 10% 미만'
▲ 권선택(중구)국회의원

정부의 중소기업 인력지원 사업이 별다른 성과도 없이 예산만 낭비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민중심당 권선택 의원(대전 중구)은 25일 거행된 국회 산업자원위원회의 중소기업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중소기업 인력지원 사업 중 해외 기술인력 도입 지원 사업, 청년채용 패키지 사업 등은 그 성과가 미미해 사업자체의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면서 '중소기업의 부족한 인력 충원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전문지식을 갖춘 해외 기술인력 발굴을 위한 해외기술인력 도입사업의 경우, 2006년부터 사업예산을 대폭 증액했음에도 고급인력의 국내유입은 박사급의 경우 10%를 넘지 않고 있다. 또한 29세 이하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채용 패키지 사업 역시도 취업률이 2007년 9월 현재 34.7%에 불과한데다 취업후의 고용 유지도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도 권 의원은 '근로여건 개선 사업 중 장기 근속자에 대한 국민주택 특별공급사업 역시도 신청 비율이 18.1%에 머무는 등 전반적인 중소기업 인력지원 사업의 성과가 대체로 미미했다'며 '중소기업 인력지원 사업의 예산과 참가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음에도  참가자의 고용 유지, 고급 인력 유입 등은 실제 성과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권 의원은 '정부가 인력지원 사업의 양적인 성장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내실화를 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기업-공고 연계 인력 양성사업의 경우, 중소기업들의 수요가 높고, 국회에서도 예산을 증액시킬 만큼 사업의 필요성이 절감되고 있다'면서 '사업의 구색 갖추기도 중요하지만, 인력지원 사업 의 경우 정부가 수요자인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선택과 집중이 논리에 따라 실요성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별첨>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