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3회 백제문화제가 8일 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하고 지난 5일 아쉬운 작별을 고하면서 다소 아쉬웠던 부분과 잘했던 부분에 대한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우선 올해 백제문화제는 장소의 다양성과 주차편의 및 자연 경관 극대화 등의 다양한 장점을 부각시켰다는 평가다.
특히 백마강에 부교를 설치하여 부소산의 절경과 154,000㎡에 펼쳐진 코스모스 단지의 매력에 많은 관광객들이 찾았으며 사비왕궁열차와 열기구 체험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빛났다.

또한 그동안 백제문화제의 시원이면서도 쉽게 접근하지 못했던 10종의 제례와 불전 행사도 SNS를 통하여 해설과 함께 생중계를 하면서 친밀감과 정체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이다.
시각적 부분에서는 다소 넓어진 장소로 인하여 분산돼 보이는 느낌 속에서도 야간경관 조명은 관람객들 뿐 아니라, 전국적인 관심이 집중되기도 했다.

하지만 부여 백제문화제는 적지않은 문제점을 노출하며 내년 축제 준비에 과제를 남겨놓기도 했다.

우선 지난 서동연꽃축제에서 성추행 사실이 있는 업체 대표가 또 한 번 행사 일부를 진행하는 등 피해자들이 2차 피해를 입어 매끄럽지 못한 진행을 보였다.
여기에 지난해 문제점을 보였던 먹거리 부분이 체험부스와 함께 마련했지만, 석탑로에 체험부스를 마련해 놓지 않아 비교적 한산한 모습이 더러 연출되는 등 관람 동선이 부족했다는 평이다.

주 행사장의 무대 이원화와 주요프로그램들의 동시간대 연출은 관람객들의 시선을 분산시켰고, 백제문화제 다운 대형프로그램이 부재한 부분은 올해도 숙제로 남게 됐다.

한편 이용우 부여군수는 “700년 대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온전하게 물려받은 백제의 후손들은 독창적이고, 독자적이고, 압도적인 문화로 백제문화제를 세계화시킬 것”이라며 “군민들이 다양성과 공존을 기반으로 해서 함께 공유하고 참여하는 행사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