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3개 시·도 실리콘밸리로 집중 육성
충청 3개 시·도 실리콘밸리로 집중 육성
  • 성재은 기자
  • 승인 2008.09.10 2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도가 정부에 꾸준히 요구해 온 천안·아산이 포함돼 기쁘다
제2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10일 충청권을 행정복합도시 중심의 첨단기술형 광역성장벨트로 형성, 실리콘밸리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균형위는 대전은 대덕특구·행정도시, 충남은 행정도시·천안·아산, 충북은 오창·오송을 중심으로 하는 발전 전략과 R&D 허브 및 동북아의 IT·BT 산업 중심지로 발전시킨다는 전략 내용을 포함한 충청권 선도프로젝트 5개를 발표했다.

선도프로젝트의 주 내용은 ▲자족형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대전-행정중심복합도시-오송을 잇는 거점도시간 신교통수단 구축 ▲행정도시-천안-용인을 통과하는 제2경부고속도로와 홍성(광천)-평택을 연결하는 제2서해안고속도로 신설 ▲황해권 성장거점인 홍성(화양)-안산(원시)을 서해선 철도로 연결하고 충북도는 유일하게 서해안-내륙을 연계하는 음성-제천간 동서 4축 고속도로를 확충키로 한다는 내용이다.

지역발전 기반 구축 방안으로는 성장거점을 육성하고 기업의 지방이전 지원을 강화, 광역경제권 추진기구를 설치키로 했다.

성장거점 육성을 위해서는 충남 서천, 대구·구미, 포항, 광주·전남 등 5곳의 새로운 국가산업단지에 산업단지 인·허가 특례법을 적용해 2009년 내로 착공하고 충남 대천항과 부산북항 등 전국 10개 노후항만을 문화·관광·비즈니스 기능을 중심으로 재개발해 도시재생과 지역경제의 거점으로 활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과학비즈니스벨트·첨단의료복합단지를 연구개발, 첨단 산업화 연계를 위한 집적단지로 개발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지역 성장거점 역할을 강화, 혁신·기업도시는 주진입도로 등 기반시설을 지원해나갈 예정이다.

기업의 지방이전 지원 강화를 위해 수도권 소재 본사·공장의 지방이전시 법인세, 소득세를 각각 5년간 100%, 2년간 50% 감면해 주던 것을 올해 말에서 2011년 말로 연장했다.

광역경제권 추진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권역별로 시도협의체(가칭 광역발전협의회) 및 상설지원단(가칭 광역발전지원단)을 만들기 위한 법률도 제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도 기획관은 “충남도가 정부에 꾸준히 요구해 온 천안·아산이 포함돼 기쁘다. 기존에 과학벨트라고 의례 명명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명칭을 실리콘벨리로 변경한 것이 아쉽다. 향후 로드맵 또한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점 또한 아쉬운 생각이 든다. 도는 실리콘밸리라는 말을 과학비즈니스 벨트로 파악하고 있지만 아쉬운 마음이 드는 것은 사실” 이라면서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냈다.

충남도 관계자는 또 당초의 비즈니스벨트 개념이 계속 변질되고 있는 것 같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비즈니스벨트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많다. 과학벨트에 대해 별도 콘텐츠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계속 연구하고 있다. 충남도의 안에 대해 계속 제시, 제안하고 있고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