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정부에 꾸준히 요구해 온 천안·아산이 포함돼 기쁘다
제2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10일 충청권을 행정복합도시 중심의 첨단기술형 광역성장벨트로 형성, 실리콘밸리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균형위는 대전은 대덕특구·행정도시, 충남은 행정도시·천안·아산, 충북은 오창·오송을 중심으로 하는 발전 전략과 R&D 허브 및 동북아의 IT·BT 산업 중심지로 발전시킨다는 전략 내용을 포함한 충청권 선도프로젝트 5개를 발표했다.
선도프로젝트의 주 내용은 ▲자족형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대전-행정중심복합도시-오송을 잇는 거점도시간 신교통수단 구축 ▲행정도시-천안-용인을 통과하는 제2경부고속도로와 홍성(광천)-평택을 연결하는 제2서해안고속도로 신설 ▲황해권 성장거점인 홍성(화양)-안산(원시)을 서해선 철도로 연결하고 충북도는 유일하게 서해안-내륙을 연계하는 음성-제천간 동서 4축 고속도로를 확충키로 한다는 내용이다.
지역발전 기반 구축 방안으로는 성장거점을 육성하고 기업의 지방이전 지원을 강화, 광역경제권 추진기구를 설치키로 했다.
성장거점 육성을 위해서는 충남 서천, 대구·구미, 포항, 광주·전남 등 5곳의 새로운 국가산업단지에 산업단지 인·허가 특례법을 적용해 2009년 내로 착공하고 충남 대천항과 부산북항 등 전국 10개 노후항만을 문화·관광·비즈니스 기능을 중심으로 재개발해 도시재생과 지역경제의 거점으로 활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과학비즈니스벨트·첨단의료복합단지를 연구개발, 첨단 산업화 연계를 위한 집적단지로 개발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지역 성장거점 역할을 강화, 혁신·기업도시는 주진입도로 등 기반시설을 지원해나갈 예정이다.
기업의 지방이전 지원 강화를 위해 수도권 소재 본사·공장의 지방이전시 법인세, 소득세를 각각 5년간 100%, 2년간 50% 감면해 주던 것을 올해 말에서 2011년 말로 연장했다.
광역경제권 추진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권역별로 시도협의체(가칭 광역발전협의회) 및 상설지원단(가칭 광역발전지원단)을 만들기 위한 법률도 제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도 기획관은 “충남도가 정부에 꾸준히 요구해 온 천안·아산이 포함돼 기쁘다. 기존에 과학벨트라고 의례 명명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명칭을 실리콘벨리로 변경한 것이 아쉽다. 향후 로드맵 또한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점 또한 아쉬운 생각이 든다. 도는 실리콘밸리라는 말을 과학비즈니스 벨트로 파악하고 있지만 아쉬운 마음이 드는 것은 사실” 이라면서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냈다.
충남도 관계자는 또 당초의 비즈니스벨트 개념이 계속 변질되고 있는 것 같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비즈니스벨트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많다. 과학벨트에 대해 별도 콘텐츠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계속 연구하고 있다. 충남도의 안에 대해 계속 제시, 제안하고 있고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