舊 기자실 폐쇄하는데 60억, 新 복원하는데 6억 3천
참여정부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가운데 60억을 투입했던 취재선진화가 실용정부가 들어선 직후 대부분의 기자실이 복원됨으로써 이중으로 막대한 혈세를 낭비했다는 책임논란이 일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창수 위원(자유선진당․대전 대덕)은 6일 국정감사 첫날 문화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정부 말 대못질 당한 기자실 속속들이 복구된 지금 이 과정에서 약 66억 가량이 들어간 사실을 공개했다.
김 위원은 “사회적 합의가 부족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사업을 진행한 참여정부도 문제였지만 이미 수십억이 들어간 사업에 대해 충분한 검토 없이 실용정부가 들어선 직후 보란 듯이 각 부처 기자실을 복구한 현 정부도 예산낭비를 부추겼다”며 추궁 강도를 높혔다.
4월말 현재 이미 19개 부처에 기자실 21개가 복원돼 약 30억짜리 합동브리핑센터가 유명무실해졌고, 약 29억짜리는 e-브리핑시스템은 활용도가 현저히 떨어져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덮어놓고 지난 정권의 사업을 번복해 국민혈세를 이중으로 낭비하는 일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어 우려된다”며 이러한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정책결정에 심혈을 기울여주길 당부했다.
덧붙여 김 의원은 구 국정홍보처가 당시 본부예산의 23.4%에 육박하는 약 60억원을 국가재정법에서 엄격히 제한하고 있는 예비비와 예산 전용을 통해 지출했던 것을 지적하며 부적절한 예산집행이 반복되지 않기를 문화부에 주문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