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 8월의 독립운동가 선정 및 전시회 개최
독립기념관, 8월의 독립운동가 선정 및 전시회 개최
  • 최형순 기자
  • 승인 2018.07.30 16: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로군정서 조직, 청산리대첩 승리 일궈낸 대종교 지도자 김 교 헌

독립기념관(관장 이준식)은 국가보훈처와 공동으로 독립운동가 김교헌을 2018년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고 공훈을 기리는 전시회를 개최한다.

대종교 입교 이후의 김교헌, 김교헌 사망 기사 1924 01 19

김교헌은 1867년 7월 경기도 수원에서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885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참의禮曹參議,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 여러 관직을 지냈고, 독립협회에 가입해 만민공동회에 참여했다.

1906년 동래감리 겸 부산항재판소판사로 재직할 당시 일제의 경제침략에 맞서다가 통감부의 압력과 친일파의 모함으로 해직되었는데, 이는 김교헌의 항일의식이 고취되는 계기가 됐다.

1910년 대종교에 입교한 김교헌은 총본사의 요직을 맡으며, 민족종교로서 대종교 이론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했다. 1914년에는 『신단실기神檀實記』와 『신단민사神檀民史』를 저술해 단군과 대종교의 근본을 역사적으로 규명하고, 민족사의 정통성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자 노력했다.

대종교 만주 영고탑에서 14회 중광절 기념 1922

1916년 김교헌은 나철의 뒤를 이어 대종교 제2대 교주에 취임했고, 일제의 탄압을 피해 만주 화룡현和龍縣 대종교 총본사로 망명했다. 이후 민족학교를 설립해 민족교육에 앞장섰고 교세를 크게 확장했다. 또한 1919년 2월 만주 길림에서 독립운동가 39인 명의로 발표된 대한독립선언서에 제일 먼저 이름을 올렸다.

김교헌은 대종교도를 중심으로 구성된 무장독립단체 북로군정서의 결성과 활동을 지도했다. 이에 북로군정서군은 1920년 10월 청산리대첩에서 큰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전투에서 패배한 일제는 대종교도를 무차별 학살했고, 이로 인해 대종교의 독립운동 기반이 약화됐다. 김교헌은 본부를 영안현永安縣으로 옮겨 재건을 준비했으나, 1923년 11월 18일 병으로 순국했다. 정부는 김교헌의 공적을 기려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대한독립선언서

※ 주요 공적

○ 1916 대종교 제2대 교주 취임

○ 1919 대한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서) 서명

○ 1977 건국훈장 독립장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