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리 "유공자들에게 합당한 예우할 것"
이낙연 국무총리가 3·8민주의거 기념관 건립에 대해 "정부가 관련 지방자치단체들과 협의해 합리적 기준을 만들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총리는 8일 오전 대전시청 남문광장에서 열린 제59주년 3·8민주의거 기념사를 통해 "대전의 3‧8민주의거는 4·19혁명으로 이어져 독재정권을 무너뜨려, 이 땅에 처음으로 민주주의를 실현했다"며 "앞으로 정부는 3‧8민주의거를 포함한 모든 민주화운동을 옳게 평가하고 유공자를 더 찾아 합당하게 예우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은 국가기념일 지정 이후 첫 정부 주관 행사로 열려 허태정 대전시장, 설동호 대전교육감, 김종천 대전시의장을 비롯해 시민, 학생 등 1700여 명이 참석했다.
3·8민주의거는 1960년 봄, 이승만 정권이 집권연장을 위해 부정선거를 획책하자 고등학생들이 먼저 일어나면서 발발했다. 2월 28일 대구의 고등학생들이 시위를 도모했고, 3월 8일 대전고 학생들은 학교 담장을 넘어 대흥로에서 유세장인 공설운동장까지 행진했다.
당시 부상자가 늘고 경찰의 폭행과 연행이 계속됐지만 학생들은 굴복하지 않고 행진을 이어갔고, 대전상고 학생과 시민들도 동참해 시위자가 1600명으로 늘고 시위는 사흘이나 계속됐다.
이 총리는 "3·8민주의거가 정당하게 평가받기까지는 너무 긴 세월이 걸려 58년이 흐른 뒤에야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며 "59년 전 학생들이 꿈꾸던 민주주의의 완성을 위해 정부는 더욱 노력하고 권력기관을 개혁해 제도적 민주주의를 강화하겠다"고 했다.
총리는 특히 대전·충청의 민주화운동에 대해 "역사의 기로마다 중심적 역할을 수행해 온 자랑스러운 고장"이라며 "일제강점기에도 대전‧충청은 유관순, 윤봉길, 김좌진, 이상설, 신채호, 한용운 등 수많은 열사와 지사를 배출했다"고 기억했다.
마지막으로 "지금 우리는 한반도 평화정착과 민족 공동번영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며 "그 길이 때로 험난하더라도, 우리는 흔들리지 않고 그 길을 갈 것이고 그 평화와 번영의 길에 대전‧충청이 중심에 서서 걸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3.8민주의거가 국가기념일로 제정될 수 있도록 힘써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며 “3.8민주의거 정신을 기억하고 후대에게 계승될 수 있도록 대전시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허 시장은 이낙연 국무총리, 기념사업 추진위원들과 단재 신채호 생가를 찾아 선생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관 건립 등 기념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국가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