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세 세종시의회 부의장, 체계적 관정개발 필요성 강조
이영세 세종시의회 부의장, 체계적 관정개발 필요성 강조
  • 최형순 기자
  • 승인 2020.05.20 2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분 발언 “지속 가능한 지하수 관정 관리 체계 더 늦기 전에 마련해야”

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장 서금택) 이영세 부의장은 20일 열린 제62회 정례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관정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5분 발언하는 이영세 세종시의회 부의장 /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5분 발언하는 이영세 세종시의회 부의장 /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이영세 부의장은 ‘동지역 생활폐기물 매립장 옆 관정 설치 예산’이 삭감된 배경을 설명하며 지하수와 관정관리의 체계화를 주장했다.

그러면서 “해당부서는 차수막 설치와 침출수 관로 이송 및 정화 과정을 거친다고 답변했지만 폐기물 침출수가 토양을 통해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한 번 오염된 지하수는 되돌릴 수 없다는 점을 무시한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올해 3월 기준으로 관내 등록된 지하수 관정 21,579개를 비롯해 9천여곳에 달하는 미등록 시설과 신고되지 않은 불용공으로 인해 관정 관리에 허점이 드러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함께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 ▲관정 개발과 방치공 처리절차 개선 ▲지하수 총량관리제 시행 ▲지하수 이용부담금 부과 등 크게 세 가지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또한 ▲‘세종시 지하수 관리센터’ 형태의 전문 조직 설립을 통한 지하수 관리 일원화와 농어촌공사 등 전문기관과 상시 협조체계 유지 ▲지하수 총량관리제로 지역별 지하수량과 개발가능량을 산정해 지하수 개발․이용행위, 취수량 제한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과 사후관리 강화를 위해 지하수 이용 부담금 징수에 대한 특별회계 운영과 설치를 위한 조례 제정 등 구체적인 방안도 거론됐다.

끝으로 “세종시는 지하수 개발 가능량 대비 이용량이 38.2%로 전국 평균 22.4%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며 “특히 어진동과 조치원이 우려지역으로 구분되기 직전인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을 조속히 강구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