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인쇄정보산업 협동조합은 인쇄업계가 선거특수 실종에 시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역사상 최대 규모로 치러지는 이번 6.2 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인쇄업계는 나름대로 선거특수를 기대하고 있었으나 언론사를 낀 일부 업체나 선거기획사에 의한 타지 발주로 대다수 지역 인쇄업체들은 한숨만 쉬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부 언론사의 특정 업체 밀어주기로 인해 인쇄업계와 법정 소송까지 이어졌으나 근절되기는 커녕 교묘하게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는 것이 업계 조사 결과 밝혀지고 있다.
대전․충남지역에서 이번 6.2지방선거에 출마하는 후보 가운데 상당수가 언론사 기자들의 선거인쇄물 개입으로 인해 매우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혹시 선거인쇄물을 달라는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받을까 해서다.
또 A지역 인쇄업체의 경우 이번 선거에 출마하는 한 후보와 선거홍보물 인쇄를 맡기로 약속이 되어 있었는데, 언론사 기자의 개입으로 선거인쇄물이 다른 기획사로 넘어가게 됐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선거홍보물의 타지 업체 발주도 심각하다. 인쇄업계는 지난 3월16일 기자회견을 통해 예비후보들에게 홍보물 인쇄시 지역업체를 이용해 달라고 주문했음에도 일부 후보들이 이를 무시하고 있어 낙선운동까지 논의되고 있다.
일부 후보는 선거홍보물 제작에 필요한 기획사 선정시 지역기획사를 선정해놓고 있지만, 실제 선거홍보물 인쇄는 수도권 등 타지에서 할 것을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본선거 때 배포되는 선거공보의 경우 인쇄업체를 명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쇄물의 타지 유출이 생각보다 많다는게 지역 인쇄업계의 판단이다.
기초단체장으로 출마하는 B후보의 경우엔 아예 인쇄업체가 서울업체로 명기된 예비홍보물을 발송해서 지역 인쇄업계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지역업계에선 몇몇 후보의 경우 서울 등 수도권 선거기획사에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에 달하는 기획비를 주고 맡겼다는 소문마저 나돌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충남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은 일부 언론사 기자들의 부당한 선거인쇄물 개입과 타지 발주에 대하여 강력히 대처하기로 했다.
언론사 기자들의 부당한 선거인쇄물 개입은 기자의 본분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선거인쇄물을 맡긴 후보들과의 암묵적인 결탁으로 인해 정론직필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선거인쇄물을 맡긴 특정 후보에 대하여 봐주기식 보도행태가 없을 수 없고, 이는 결국 공정선거를 해치는 부당한 행위로서 선거법에도 저촉되는 불법선거운동이 아니냐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대전충남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은 선거인쇄물을 둘러싼 일부 언론사 기자의 부당한 개입이 확인될 경우 선거관리위원회 등 관계당국에 엄중 조처할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
아울러 일부 후보의 선거인쇄물 타지 발주에 대해서도 현행 선거법 테두리 내에서 취할 수 있는 강력한 대응조치를 강구하기로 했다.
대전충남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의 구자빈 이사장은 “일부 언론사 기자들의 부당한 선거홍보물 수주개입이나 일부 후보들의 타지 발주에 대한 얘기들이 많아 조합차원에서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다”면서 “지역경제를 살리겠다며 출마한 후보들이 지역 업체를 외면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다시 한번 엄중히 경고하는 동시에 일부 언론사 기자들의 본분을 망각한 일탈행위에 대해서도 강력히 대응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