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보건환경연구원의 특수가스 구입과 관련한 특혜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 10년간 매년 진행했던 입찰에서 1개 업체가 8번 낙찰한 것이 특혜 의혹의 배경이다.
11일 진행된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의 보건환경연구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손희역 복지환경위원장(더불어민주당, 대덕구1)은, 특수가스 입찰 관련 허점과 의혹을 집중적으로 파고들었다.
손 위원장은 “보건환경연구원 특수가스 입찰 내역을 보니 한 업체에서 8번 낙찰을 받았다”며 “특혜 의혹이 굉장히 짙다”고 의구심을 드러냈다.
이어 손 위원장은 “타 연구소에 알아보니 특수가스는 생산업체 성적표만 있어도 납품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보건환경연구원은 국제인증 받은 것만 사용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특수가스로 국제인증을 받은 곳은 국내에 1곳 밖에 없다”며, “그 업체에서 납품을 안 해주는 이상 입찰할 수 있는 곳은 대한민국에 없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구입하는 특수가스의 국제인증을 받은 곳이 국내 1곳으로 제한된 상황에서, 연구원이 과도한 규제를 통해 특혜를 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는 것이 손 위원장의 주장이다.
특히 손 위원장은 “타 연구소에 알아보니 특수가스는 국제공인 인증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성분을 보고 필요에 따라 납품 받는다는 자문을 얻었다”는 말로 특혜 의혹을 뒷받침 했다.
마지막으로 손 위원장은 “여러 업체가 공평하게 참여할 수 있게끔 연구원에서 노력해 달라”는 당부의 말도 잊지 않았다.
이에 대해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살펴보겠다”고 답변, 특혜 의혹의 진위 여부에 나설 계획임을 분명히 했다.
한편 손 위원장은 이날 행감에서 보건환경연구원 특수가스 납품 특혜 의혹 제기 외에도, 라돈 저감장치 설치 유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방사능 안전망 강화를 주문해 눈길을 끌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