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선 충남도의장이 8일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 내용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김명선 의장은 이날 의회 소회의실에서 송년기자회견을 열고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으로 지방자치가 새 옷을 갈아입게 된 것은 고무적이지만 의원정수 대비 정책지원 전문인력 불일치, 인사청문회 제도 명문화, 풀뿌리 민주주의 핵심인 주민자치회 규정이 빠져 아쉽다”고 말했다.
특히 “의원들 혼자서 행정사무감사, 예산 심의, 지역구 활동 등을 한다“며 “의원 1명당 전문인력이 1명이 보좌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집행부와 지방의회간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기 위해 의회의 견제와 감시 기능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이어 올해 의정 성과와 운영방향에 대해 소개했다.
도의회는 지난 1년간 유례없는 감염병 사태에도 총 119일의 회기동안 372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하는 등 각종 현안해결에 앞장섰다. 조례 제·재정 건수 232건 중 의원발의 건수는 181건(78%)에 이른다.
지역발전 및 지역현안 해결을 위해 충남대 내포캠퍼스 유치를 위한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 촉구, 인구소멸위기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 촉구, KBS 충남방송총국 내포 설립 촉구 등 26건의 건의·결의문을 채택했다.
지난달 6일부터 약 2주간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선 도정·교육행정 재정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행정의 낭비적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627건에 대해 시정하고 제안했다.
내년에는 ▲시대 변화에 부응하는 전문성 있는 조직 운영 ▲소통, 협력하는 열린의정 실현 ▲전문적 재정분석을 통한 의회 정책 결정 기능 강화 등을 중점 추진한다.
특히 체계적인 의정활동 지원을 위해 사무처 조직을 확대 개편하고 인력을 확충한다.
의정홍보 및 도민소통 기능 강화를 위해 내년 1월 1일 홍보담당관실을 신설한다. 기존의 공보기능을 강화하면서 뉴미디어 홍보, 도민 의견 수렴과 민원해소에 주력한다.
오는 7월엔 도정살림 대토론회를 개최해 예산안 편성전부터 도민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심의 기간도 확대한다.
김 의장은 “올해는 코로나19와 수해 피해, 경제 침체로 어려운 상황에서 동주공제(同舟共濟)의 마음으로 위기를 극복했다”며 “내년에도 다함께 힘을 모아 신뢰 받는 의회가 되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