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 시장 "조건부 찬성 아냐" 선긋기
허태정 대전시장이 27일 대전열병합발전(주)의 대규모 복합화력발전소(LNG) 증설 추진 논란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허 시장의 첫 공식 입장은 ‘찬성·반대’가 아닌 ‘3가지 조건’을 선결 과제로 제시했다.
▲지역사회의 공감대 및 수용성 ▲발전용량 증가 이유 및 지역사회 환원 규모 ▲용량 증가에 따른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감소 수치 등 3가지 요건을 충족한 다음 시민들에게 평가를 받자는 것이다.
LNG 증설을 놓고 지역민들의 찬·반 논쟁이 격화되자 대전시의 명확한 기준점을 제시, 중재 역할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허 시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열병합발전의 LNG발전소 증설과 관련 찬반으로 여론이 갈리고 있다"며 운을 뗐다.
허 시장은 “이 사업이 진행되려면 우선 선행적으로 해결돼야 할 세 가지가 있다"며 충족 요건을 나열했다.
첫 번째로 지역사회와 충분한 대화와 공감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 두 번째는 에너지 발전용량이 대폭 증가하는 이유와 이에 따른 지역사회에 어떤 이익(환원책)이 있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 세 번째는 발전용량 증가로 인해 미세먼지나 온실가스가 정확히 얼마나 감소하는지 구체적 수치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시민 설득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상 조건부 찬성이 아니냐’는 기자들의 후속 질의에는 "찬성 또는 조건부 찬성이라는 뜻이 아니다. 앞에서 밝힌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것이 우선이라는 말"이라며 "뭘 하면 찬성하고, 뭘 안하면 반대하겠다는 그런 뜻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특히 탄소중립과 시대적 가치에 부합해야 한다는 입장에 무게를 뒀다.
그는 "열병합발전소 증설이 왜 지금 해야 하는가 하는 '시기'의 문제가 있다. 현재 우리의 목표는 '탄소중립사회'로 가는 것이고, 2030년까지 탄소 30% 감축을 하겠다는 것"이라며 "이 사업이 진행됐을 때 탄소중립사회로 가는 목표에 기여하느냐, 그러한 시대적 가치에 부합하느냐가 더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시설 현대화로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그리고 이 사업의 안전성이 보장된다면, 그 때 논의를 할 수 있다고 본다"며 "절차적으로는 시민들의 충분한 이해와 공감 과정이 필요하고, 내용적으로는 탄소중립사회라는 목표에 기여하느냐 하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대전 대덕구 신일동에 위치한 대전열병합발전은 최근 노후된 시설 현대화를 위해 '대전열병합 집단에너지사업 변경사업계획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
기존 113MW(메가와트)급 증기터빈발전에서 495MW급 대규모 가스복합화력발전으로 증설한다는 게 핵심이다.
최근엔 지역주민과 환경단체들이 미세먼지 증가와 오염물질 배출 등의 이유로 반대운동을 벌이고 있다. 일각에선 해당 사안이 지역 에너지 기업 간 이해충돌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