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시민적 합의, 특별자치단체 설치 필요 등 주장
충청권 메가시티 건설을 위한 범시민적 합의와 특별자치단체 설치 등 구체적 액션플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범충청포럼(상임대표 이창기)가 13일 대전오페라웨딩홍에서 개최한 ‘충청권, 메가시티를 넘어 광역행정 통합의 길’ 정책세미나에선 충청권 메가시티의 성공건설을 위한 전문가의 제언이 쏟아졌다.
첫 주제발표에 나선 박종관 백석대 교수는 ‘광역자치단체간 행정구역통합과 분리연구’에서 “사회각층의 많은 논의를 통한 적절한 대안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백 교수는 “수도권집중이 심화되고 지방의 소멸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충청권통합논의는 세가지 방안이 가능하다”며, ▲경제권, 교통권, 문화권의 연합을 통한 충청권 광역통합 ▲충청권 초광역화로 연합체제 형성 ▲광역자치단체간 통합 등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백 교수는 “구역개편과정은 충분한 논의와 토론을 거쳐 주민투표나 주민의견조사 등 주민전체의 의사를 고려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창기 상임대표가 좌장을 맡아 진행한 토론에서도 충청권 메가시티 성공건설을 위한 다양한 조언이 나왔다.
하혜수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장(경북대 교수)은 “시도통합의 일차적 목표는 지방분권 강화이고 궁극적 목표는 지역의 자립과 경쟁력 제고라는 측면에서 충청권은 4개시도의 통합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특별자치단체를 설치해서 행정통합으로 가는 징검다리를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영호 군산대 교수는 “대전-충남 등을 엮는 신광역행정구역개편의 차원에서 메가시티로 묶고 교통, 관광, 산업 등을 주제로 특별자치단체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김수현 센터장은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 전략으로 1단계는 지역현안 공동 해결, 4개시도연구원 공동연구확대, 4개시도 통합의 로드맵 및 비전 합의, 2단계는 부문별 특별자치단체 구성, 4개시도연구원 통합, 3단계는 가칭 충청자치도를 출범시키자”고 제안했다.
이창기 상임대표는 토론회 말미에 “행정통합이 어려운 과제이긴 하나 수도권에 대응하는 비수도권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세종시를 품고 있는 충청권이 앞장 서 행정통합의 비전과 로드맵을 합의하고 특별자치단체를 징검다리 삼아 광역행정통합의 길로 빠르게 나아가기 위해 깨어있는 충청인의 주인의식과 통합의 정치행정리더십이 절실하다”고 마무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