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항만하역장비 최적화 기술 개발...오염물질 배출 80% 저감
기계연, 항만하역장비 최적화 기술 개발...오염물질 배출 80% 저감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2.22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항만하역장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PM, NOx 동시저감장치 개발
항만하역장비 미세먼지저감장치 실증 현장 / 기계연 제공
항만하역장비 미세먼지저감장치 실증 현장 / 기계연 제공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기계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항만하역장비 미세먼지 저감기술을 개발했다.

기계연은 항만하역장비의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입자상물질(PM), 질소산화물(NOx) 동시저감장치를 개발하고 부산항 현장 실증에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기계연에 따르면 부산기계기술연구센터 조규백 센터장은 항만하역장비에 최적화된 매연저감장치(DPF)와 선택적 촉매환원장치(SCR)가 분리된 형태의 미세먼지 동시저감장치를 개발했다.

이와 함께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질화규소(SiC) 촉매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인 담체 및 금속 담체, 저온 SCR 촉매, 요소수 공급 장치 및 암모니아슬립 제어 기술 등도 적용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동원로엑스㈜가 운영하는 컨테이너 상하차 작업 차량 ‘리치스태커 ’에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개월간 실증했다. 그 결과 PM과 NOx 등 배출 미세먼지의 80% 이상을 줄이는데 성공했다. 아울러 저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가 진단 장치(OBD) 기능, 통합제어장치도 함께 개발해 사용성과 안전성도 높였다.

현재 가동 중인 리치스태커의 대부분은 항만미세먼지관리특별법 이전에 도입돼 별도의 배출가스 저감 장치 없이 운행되고 있다. 리치스태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NOx는 부산항 하역 장비 전체 발생량의 4~5%를 차지한다.

연구팀은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DPF와 SCR 일체형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에 착수할 계획이다. 아울러 운행 중인 다른 리치스태커에도 적용을 확대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조규백 센터장은 “노후된 항만하역장비에 맞는 미세먼지 저감 장치 개발과 실증에 성공하면서 앞으로 항만 지역의 대기질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과 지원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관련 제품 국산화를 통해 국내 관련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되고 싶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환경부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저감 실증화 기술개발 사업 ‘중소형 항만하역장비 PM/NOx 동시저감용 SDPF 개발 및 실증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