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대전지역 일부 자치구에서 위탁받아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운영하는 특정 업체가 대전지역 검사 분소 설치 약속을 늑장 이행하고 있어 논란이다.
해당 업체가 협약 후 7개월이 지나도록 검사 분소를 가동하고 있지 않으면서다.
현재 각급 자치구에서 위탁 운영하는 선별진료소의 계약기간이 ‘운영 종료시’까지로 돼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신속한 약속 이행 또는 행정적 시정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충청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대전 중구와 대덕구는 의료법인 A재단과 협약을 맺고 선별진료소를 운영하고 있다. A재단은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해 있다.
중구와 대덕구에서 PCR 검사를 받으면 검체가 이곳으로 이송돼 음·양성 여부가 판정되는 구조로 선별진료소가 운영된다.
문제는 분소 설치 여부다. 지역에 분소 등을 설치하면 보다 확진자가 퍼지는 속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신속한 검사 후 확진자 접촉 자체, 확산 방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질병 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것.
해당 재단은 협약 당시 대전에 분소를 설치하겠다는 내용을 구두로 약속했지만 대전 사무실 마련에 늑장을 부리며, 대전시민은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적 불이익을 감수해야 할 수 밖에 없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이에 대해 지역 보건소의 한 관계자는 “(당시) 질병청에서 공고한 수탁의료기관은 24곳으로 대전지역에 본사나 지사를 두고 있는 업체는 없었다”며 “(24곳 중) 두 곳에서만 하겠다고 했고 한 곳은 요청한 서류를 보내지 않아 사실상 선택지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업체와의 계약 내용 역시, 선별진료소 위탁 운영과 관련한 문제를 키우는 상황이다.
위탁협약서 상 계약기간을 특정 날짜가 아닌 ‘선별진료소 종료시까지’라고 명문화 해, 사실상의 독점 운영 구조를 만들었다.
보다 나은 기술이나 신속한 검사를 담보할 수 있는 업체가 나와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없는 구조로 계약이 돼 있다는 것.
이 같은 상황은 시민들의 ‘선택권 제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3월부터 위탁운영을 맡아온 해당 재단은 7개월가량 검사를 위한 사무실 준비가 늦어지다 본보가 취재에 들어가자 뒤늦게 중구 오류동에 사무실을 구하고 리모델링 등 대전분원 설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각 구에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대전의 5개 자치구 보건소는 올해 초부터 선별진료소를 질병관리청과 계약된 코로나19 진단검사 전문 위탁기관과 위탁협약을 맺고 운영해오고 있다.
3년간 쉼 없이 시민들을 위해 검사해왔던 보건소 의료·행정인력 등의 피로감이 고조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이에 따라 중구와 대덕구 이외에 서구와 유성구는 충북 청주에 위치한 B연구원에 위탁 운영을 맡기고 있다.
유성구는 시가 운영하던 관평동 선별검사소가 사라지면서 의료인력이 그대로 월드컵경기장 검사소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동구는 C재단에 위탁을 맡기고 선별검사소를 운영 중이다. C재단은 채취한 검체를 동구 용전동에 있는 C대전의원에서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광역단체인 대전시의 시청남문광장 선별검사소는 D의료재단 대전충청센터가 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