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명칭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내년 3월 개원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설립 초기부터 공공성 훼손 지적을 받아온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명칭에 ‘넥슨’이 들어가는 것으로 최종 결정됐다. 개원 시점은 당초보다 1개월 지연된 내년 3월이다.
14일 대전시는 재단법인 넥슨재단과 협의를 통해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을 위한 실시협약을 수정 체결하고 협약서를 공개했다.
병원 명칭은 보건복지부 동의를 받아 당초 ‘대전충남넥슨어린이병원’에서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으로 수정됐다.
넥슨재단은 병원의 공공성 운영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원활한 운영을 위해 운영비, 재활프로그램 사업비, 병원 홍보비 등 지원이 가능한 조항이 포함됐다. 다만 넥슨재단이 희망 시에는 병원 운영위원회에 위원 1명을 참여시킬 수 있도록 규정했다.
병원 건립은 지연됐다. 당초 12월 준공, 내년 2월 개원 예정이었으나 공사자재 가격 인상과 레미콘 운송노조 파업, 원도급·하도급 간 사정 등으로 인해 내년 3월로 미뤄졌다.
현재 공정율은 82%로 내부 건축공사를 진행 중이다. 시는 충남대병원과 시공사, 건설사업관리단에 국가계약법 및 공사계약 법규 등에 따라 조속한 공사 이행을 촉구해온 상태이고, 지속적인 관리 감독을 통해 조기 개원에 전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병원을 이용하는 장애어린이들을 위한 특수교육은 대전 해든학교 소속으로 6개의 병원파견학급(영유아 2, 초등 2, 중고등 2)으로 운영된다. 시는 교육청에 개원 지연 시 특수학교 교사들이 가정 또는 시설로 직접 방문해 교육 공백 없이 원활한 학습이 이뤄지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시는 재활병원의 특수성으로 적자 구조가 불가피하다는 예측에 따라, 병원 운영상 불필요한 지출의 경우 구조조정 등으로 적자분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가로부터 재활치료 시범수가 적용과 재활프로그램사업비 지원 등을 확약을 받고, 필수인력 인건비 등의 국비 확보와 기업 후원 유도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지용환 시 복지국장은 “공공성이 중시되도록 후원기업과 지속 협력해 나가고 공사의 철저한 공정관리 등을 통해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조기 개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구 관저동 일대에 70병상 규모로 들어서는 공공 어린이재활병원 건립에는 국비와 넥슨재단 기부금 각 100억 원, 시비 294억 원 등 총 494억 원이 투입된다.
앞서 시는 지난 2019년 10월 넥슨재단으로부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비 100억 원을 기부 받기로 협의하며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 협약서에는 재활병원 명칭에 기업명이 들어가 공공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시가 협약서 전문을 공개하지 않아 밀실 논란도 불거졌었다.
지난 6월 지방선거 당시에는 해당 협약서가 공개되며 논란이 재점화됐다.
협약서에 따르면 ▲병원장 임명 시 대전시와 넥슨재단 협의 ▲넥슨재단 운영위원회 참여 ▲20억 이상 사업비 증감 시 대전시와 넥슨재단 협의 등 공공성 훼손 소지가 있는 독소조항이 포함돼 선거 쟁점으로 급부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