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公, 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토론회 개최
농어촌公, 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토론회 개최
  • 최형순 기자
  • 승인 2022.12.13 16: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람직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방안을 위해 머리 맞댄다
국회물포럼(회장 변재일 의원) ․ 정희용 국회의원 공동 정책 토론 열어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국회물포럼(회장 변재일 의원, 충북 청주시)과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 공동주최하고, 한국농어촌공사와 한국농공학회가 공동 주관한‘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토론회’가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토론회에서 이병호 사장 인사말 모습
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토론회에서 이병호 사장 인사말 모습

이날 토론회에는 정희용 의원을 비롯해 국회물포럼 부회장으로 활동 중인 김성원 의원(국민의힘 경기 동두천시․연천시), 김회재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남 여수시을)이 참석했다.

토론회에서는 우리나라 수자원 이용 및 보전과 함께 농업․농촌을 지탱하는 근간인 농업용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짚고, 앞으로 통합물관리 정책의 성공을 위한 바람직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다양한 논의가 있었다.

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토론회(왼쪽부터) 농공학회장 최경숙, 국민의힘 이만희, 김성원, 정희용 의원
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토론회(왼쪽부터) 농공학회장 최경숙, 국민의힘 이만희, 김성원, 정희용 의원

이날 발제는 한국농어촌공사 박진현 단장이 2030 농업용수 관리 비전을, 이정재 교수가 우리나라 농업용수 정책의 변화와 과제를, 최동진 박사가 통합물관리 관련 농업용수 제도 개선 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이어 김승 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을 좌장으로 한 토론에서는 △타분야에서 바라본 농업용수의 이해와 제안 △통합물관리와 농업용수 관리 방향 및 향후 추진계획 △농업용수의 농촌 물순환 기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농어촌공사와 한국농공학회가 공동 주관한‘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토론회’가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
농어촌공사와 한국농공학회가 공동 주관한‘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관리 정책 토론회’가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

*토론참석자 : 김승 박사 건설기술연구원 명예연구위원, 김형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부회장, 박창근 대한하천학회장, 이재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기반과장, 임병희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사무총장, 조원주 충북대 교수, 최진용 서울대 교수(가나다순)

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정책 토론회 포스터
통합물관리를 위한 농업용수 정책 토론회 포스터

종합토론에서 농식품부 이재천 농업기반과장은 “앞으로 농업용수 분야도 ICT 기술을 접목한 데이터 기반의 물관리로 전환하기 위해서, 용수 공급․관리․이용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과제를 추진 중에 있다”며 “농업인․지자체가 함께 참여하는 거번넌스와 관수로, 자동물꼬 등 기반시설 확충을 통해 농업용수가 적정하게 공급․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토론회 개회사를 통해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은 “기후이변 시대, 농업용수의 안정적 관리는 국가 정책의 중요한 근간인 만큼 앞으로 국가 물관리정책과 국토 물순환 정책에 농업용수가 한 축을 담당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농업용수의 발전과 관리가 체계적으로 될 수 있도록 국회에서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농어촌공사 이병호 사장은 축사에서 “농업용수의 패러다임을 개발에서 관리 중심으로 전환하고, 최종 수요자인 농업인 중심의 물관리를 활성화 해야한다”며“이를 위해서는 관련제도 정비를 비롯해 농업인과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과 소통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