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정부 교육 분야 국정과제 중 하나인 늘봄학교에 대한 반발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교사들은 물론이고 행정을 담당하는 교직원들도 크게 반기지 않는 모양새다.
22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이르면 이주 내 늘봄학교 관련 기본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2학기 8개 시도교육청 400여개 초등학교에서 시범사업을 운영했다. 올해는 2025년 계획을 앞당겨 1학기엔 전국 2000여개, 2학기엔 6000여개 학교로 확대할 예정이다.
그러나 현장의 생각은 다르다. 돌봄 전용 공간 부족, 교사 업무 과중 문제 등 정책 문제점이 드러났는데도 전면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전교사노조 이윤경 위원장은 최근 세종 교육부 앞에서 진행된 교사노조연맹 기자회견에서 “학생 수요도 없고,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인력과 공간에 대한 뚜렷한 대안도 없이 졸속적으로 전면 시행을 하는 이유가 무엇이며 늘봄 학교 사업을 위한 장기적인 청사진이 있긴 했던 것인가”라며 “사업을 확대 실시하기 전에 본 사업이 목적에 맞는 역할을 하고 있는지 먼저 확인한 다음에 사업의 확대와 존폐여부를 결정해야 함에도 그런 과정이 있었나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또 “(교육부가) 늘봄학교 전면 시행을 발표하기 전에 본 사업이 각 가정과 학생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부터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늘봄학교 전면 시행이 탐탁치 않은 것은 교직원도 마찬가지다.
대전교육청공무원노조는 22일 성명을 내고 “돌봄과 늘봄학교의 교육서비스 제공에 학교 교직원을 동원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전면 철회를 촉구했다.
이어 노조는 “늘봄학교에서 교육자인 교사를 배제하고 학교에 늘봄학교를 도입해야 한다면 그에 따른 필수 업무는 누가 해야 하는가”라며 “교육도, 보육도 전혀 배운 적 없고 전공도 아닌 행정실 행정직원에게 맡기려는 속셈인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책은 추진하고 볼 테니 학교에서 알아서 수습하라는 것”이라며 “갈라치기 정책이자 공교육이 아닌 준 사교육, 교육이 아닌 보육시설로 변질시키려는 늘봄학교 전면도입 계획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늘봄학교는 초등학교에서 학부모가 희망하는 시간과 프로그램을 참여할 수 있는 돌봄·교육 서비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