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와 시장·군수들이 산불 피해 최소화를 통한 도민 인명 보호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 지사는 21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제5회 충청남도 지방정부회의’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것은 두가지”라고 밝혔다.
이어 김 지사는 “우리는 강원이나 경북보다 10년 동안 대형산불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그렇기에 진화 시 숙련이 덜 돼 우왕좌왕한 모습을 보였다”고 꼬집었다.
지난해 도내에서는 홍성군 서부면 대형 산불 등으로 인해 총 1834㏊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다.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피해 면적이 2086㏊인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피해 수준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산불에 대한 경각심 고취 및 대응체계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예방대책 관련, 이용록 홍성군수는 “서부면 대형 산불이 났을 때 지사님께서 현장에서 지휘를 해주셔서 조속히 대응할 수 있었다”며 “현재 백서 매뉴얼을 만들었다. 필요하시다면 매뉴얼을 제공해드릴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박범인 금산군수는 “예찰 활동도 중요하지만 발생 시 정확한 상황을 알수 있는게 드론”이라며 “드론을 활용한 진화 예찰 시스템을 만드는게 시급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오성환 당진시장은 “당진도 작년 3일간 진화작업을 펼쳤는데, 헬기가 낙엽 때문에 밑에 불씨의 진화가 어렵다”며 “헬기보다 호스가 달려있는 진화차가 도움이 컸다. 이번에 예산을 들여 추가 구매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계속해서 김동일 보령시장은 “지난해 같은 시간에 보령도 산불이 발생했지만, 1대의 헬기가 동원됐다”며 “산불작업 예방이 가장 중요하기에 쓰레기를 소각하는 어르신들을 찾아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김 지사는 “산불이 난 부분들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어떤 나무를 선정할지, 다른 용도로 산을 활용할 수 있는지 도하고 협의해달라”며 “적극적으로 산림청과도 협의해 뒷받침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들 것”을 지시했다.
마지막으로 “올해는 선제 대응을 위해 철저한 대비 태세를 구축하고 산불 진화 장비와 인력 지원 등 긴밀히 공조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한편, 도는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설치·운영해 산불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봄철 건조기에 맞춰 입산자 실화, 소각에 의한 산불 등을 방지하고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