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현역의원 전원 "정부, 원설본부 강제 이전 철회하라"
대전 현역의원 전원 "정부, 원설본부 강제 이전 철회하라"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4.08.08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설본부 자발적 퇴직 러시 배경으로 강제 이전 추진 정부 탓 지목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한국전력기술 원자로설계개발본부(원설본부)에서 역대급 ‘탈출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대전지역 야당 의원들은 원설본부 탈출 러시의 배경으로 ‘원자로 설계 조직을 강제 이전하려는 정부의 무리수’를 지목했다.

원설본부는 원전의 심장인 원자로 1차 계통 설계를 담당하는 핵심 연구 조직이다.

8일 조승래 의원실에 따르면 2020년부터 이달까지 원설본부 퇴직자가 매년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난 2020년 정규직 2명이 자발적 퇴직을 선택한 뒤, 2021년 정규직 4명, 2022년 정규직 7명이 원설본부를 떠난 것.

이후 지난해에는 정규직 9명이 자발적 퇴직을 했고, 올해는 7월까지 계약직 1명과 정규직 4명이 원설본부를 떠났고 이달 중 7명이 퇴직 예정이다.

사실상 산술급수적 양상을 보이며 원설본부의 자발적 퇴직자 수가 증가한 셈이다.

이에 대해 대전지역 야당은 “윤석열 정부가 ‘체코 원전 대박’을 요란하게 선전하는 사이, 핵심 계통을 설계할 연구 현장이 홍역을 앓고 있다”고 지적하며, ‘원자로 설계 조직을 강제 이전’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대전지역 현역의원 7명은 이날 발표한 공동명의 성명을 통해 “원설본부에서 역대급 ‘탈출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에만 근 5년 간 가장 많은 직원이 퇴사했고, 올해도 퇴사가 이어지고 있다”며 “8월 퇴사 예정자까지 합하면 ‘퇴사 신기록’경신이 코 앞이라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태가 이 지경이 된 건 지난해부터 이어진 원설본부 졸속, 강제 이전 시도 탓”이라며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대전의 핵심 파트너들을 놔두고 경북 김천으로 가라는 게 정부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설본부 구성원들과 원자력계 노동자들이 즉각 반발했지만 요지부동”이라며 “이것이 ‘원전 강국’을 외치면서 전문가들을 짐짝 취급하는 윤석열 정부의 민낯”이라고 힐난했다.

대전지역 현역의원들은 “아무리 ‘수주 대박’, ‘원전 강국’을 외친들 사람이 떠나면 무슨 소용인가. 사상누각, 신기루에 불과하다”며 “체코 원전 사업의 성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도 모자란 때에, 국가가 인력 유출과 역량 훼손을 부추겨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번 떨어진 연구 현장의 사기, 한번 파괴된 R&D 생태계는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지난해 R&D 예산 삭감의 후폭풍이 주는 교훈”이라며 “더 이상의 파국은 안 된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원설본부 강제 이전 방침을 철회하라”고 강력 촉구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