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특화단지, 기회발전특구 선정에 이은 쾌거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은 '첨단바이오제조 글로벌 혁신특구' 후보지역 선정과 관련해 “대전이 10년 안에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을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 시장은 9일 주재한 주간 업무회의에서 “첨단 바이오 분야와 신약 개발 등에 있어 글로벌 혁신특구 후보지역 선정은 굉장히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8일 글로벌 혁신특구 후보지역 공모 결과 대전, 대구, 경남 3곳이 후보지역으로 선정했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중기부가 현재 시행 중인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한 것으로, 규제·실증·인증·보험 등에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의 제도 적용으로 첨단분야의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대전은 합성생물학 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확산을 통한 첨단 바이오제조 선도 도시 도약을 목표로 한다. 바이오 파운드리를 활용하고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규제 특례를 받아 바이오 소재 개발 역량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이 시장은 “약 300개의 우리 바이오 기업이 뛰고 있고, 여러 분야 특구와 첨단 바이오 등에서 큰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건 공직자들의 헌신과 노력 덕분”이라고 격려했다.
특히 이 시장은 공직사회에 국가적인 혼란 상황 속인 만큼 현안 사업의 차질 없는 대응을 주문했다.
그는 “이달 대전투자금융(주) 출범과 도시철도 2호선 및 유성터미널 착공식, 보문산 프로젝트 등 여러 현안이 계속 예정돼 있다”며“우리 국정 상황은 국정 상황대로 유지·관리하고 대신에 우리 시정 현안과 관련해서는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빈틈없이 추진하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시는 이번 특구사업을 통해 첨단바이오제조가 활성화되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기술, 신산업 등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로 의약품, 식품, 농축산업,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파급될 수 있으며, 1,266억 원의 생산 유발과 547명의 고용 유발이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