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논문출판비용의 글로벌 비교분석과 시사점’이슈브리프 발간
KISTI, ‘논문출판비용의 글로벌 비교분석과 시사점’이슈브리프 발간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5.01.02 14: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ISTI 이슈브리프 제78호 표지
KISTI 이슈브리프 제78호 표지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오픈액세스 학술문헌의 급증에 대응해 논문출판비용의 글로벌 비교분석과 시사점을 주제로 한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KISTI 글로벌R&D분석센터와 오픈액세스센터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웹오브사이언스(Web of Science)에 등재된 오픈액세스 논문 500여만편을 대상으로, KISTI에서 구축한 논문출판비용(APC)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주요 출판사 및 국가의 논문출판비용 규모를 추정했다.

이번에 발간된 KISTI 이슈브리프 제78호에 따르면 2019~2023년 웹오브사이언스 등재 학술지에서 오픈액세스 문헌 출판을 위해 출판사에 지불된 논문출판비용의 총액은 13조 7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조 5638억 원에서 2023년 3조 8499억 원으로 2.46배 증가했으며 이는 같은 기간 오픈액세스 문헌의 1.70배 증가율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한편 2019~2023년 글로벌 6대 출판사의 연도별 논문출판비용 규모를 추정한 결과 MDPI가 2조 7534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Springer Nature 2조 3355억 원, Elsevier 2조 2966억 원, Wiley 1조 5372억 원, Frontiers 1조 2312억 원, Taylor & Francis 4783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논문출판비용으로 출판사에 지불한 금액이 2019년 460억 원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에는 1000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교 대상 국가 중에서 이탈리아와 함께 MDPI 출판사에 지출한 논문출판비용의 전체 출판비용 대비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식 원장은 “우리나라 오픈액세스 논문의 특정 출판사 편중 현상과 논문출판비용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향후 공공자금으로 생산된 학술출판물에 대한 체계적인 오픈액세스 전환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며 “KISTI는 앞으로도 글로벌 과학기술 환경의 다양한 변화를 데이터에 기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