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비불소계 전해질막 수소연료전지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발족식 및 킥오프 미팅’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총사업비 250억 원이 투입되는 전략연구단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과 환경 친화성을 높이기 위해 비불소계 전해질막 관련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선도 기술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적 산·학·연 협력체다.
전해질막은 연료전지 내에서 수소, 산소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는 핵심 소재다. 현재는 불소 기반의 불소계 전해질막이 상용화돼 있지만 환경 유해 물질인 과불화화합물 사용과 고비용의 한계로 인해 친환경적인 비불소계 전해질막이 글로벌 수소연료전지 시장의 핵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행사는 에너지연이 주최하고, 비불소계 전해질막 수소연료전지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의 주관으로 진행됐다.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현대자동차를 포함한 총 28개의 관·산·학·연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발족식에서는 연구단의 비전과 목표, 비불소계 전해질막 기술개발 로드맵, 산학연 협력 방향 등이 발표됐다. 특히 미래 글로벌 패러다임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중장기 비전과 핵심 전략을 위주로 기술 자립 기반을 다지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됐다.
이창근 원장은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 기술은 기존 불소계 소재의 환경적·정책적 한계를 보완하면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신뢰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 중 하나”라며 “에너지연은 소재부터 셀, 스택, 시스템 실증까지 연계하는 기술을 지속 개발해 왔으며, 앞으로 산업계와 협력을 통해 실증과 확산으로 이어가는 기술 패키지 전략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연구단은 비불소계 고분자 기반 전해질, 비불소계 지지체 기반 강화복합막, 비불소계 이오노머와 유기계 산화방지제, 대면적 막전극접합체(MEA) 등 핵심 기술의 개발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