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피지컬 AI 핵심기술 실증' 시범사업 수주
KAIST, '피지컬 AI 핵심기술 실증' 시범사업 수주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5.08.28 14:06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협업지능 피지컬AI 모식도
협업지능 피지컬AI 모식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전북도, 전북대, 성균관대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피지컬 AI 핵심기술 실증(PoC)’ 시범사업을 공동 수주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사업에서 KAIST는 ‘협업지능 피지컬 AI’를 주제로 연구 기획을 주도했으며 전북대와 전북도는 이를 기반으로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지역 내 협업지능 피지컬 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KAIST는 연구 원천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한 연구 환경 조성, 나아가 산업 확산을 담당한다.

사업 KAIST 총괄 책임자인 장영재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는 2016년부터 협업지능 피지컬 AI 관련 연구를 선도적으로 추진해 왔다. 특히 ‘협업지능 기반 스마트 제조 혁신 기술’은 그의 대표 성과로, 2019년 KAIST ‘10대 대표 연구 성과’에 선정된 바 있다.

‘피지컬 AI’란 인공지능이 시공간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로봇, 자율주행차, 공장 자동화 기기 등 물리적 장치들이 사람의 지시 없이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말한다.

특히 협업지능 피지컬 AI는 수많은 로봇과 자동화 장비가 투입되는 공장 환경에서 이들이 서로 협력해 목표를 달성하는 기술로, 반도체·2차전지·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다크 팩토리(무인 공장)’ 구현을 위한 핵심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 이는 기존 제조 AI와 달리 방대한 과거 데이터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을 통해 변화가 잦은 제조 환경에서도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으며 과거 데이터 의존성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기술로 평가된다.

이광형 총장은 “KAIST는 학문적 연구를 넘어 국가 전략기술의 실질적 산업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이번 성과를 계기로 전북대, 전북도와 협력해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피지컬 AI 혁신 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macmaca 2025-08-28 17:35:58
주권없는 불교 Monkey 서울대 모방하여, 이런 원숭이 대학들이, 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 약탈하고 싶어서.

macmaca 2025-08-28 15:48:50
근대세계 지배세력 서유럽.세계사의 수천년 문명,인정받아온 혜택자 중국.무엇을 유지했고,무엇 잃었는지,서유럽,중국,미국,소련(러시아) 본인들이 알아야.*불교 Monkey일본 항복후,한국은 국사 성균관(성균관대)복구,유교복구자격. 국사 성균관자격 宮성균관대, 교황윤허의 예수회 귀족대학 Royal서강대.한국에 주권.학벌없는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그 미만 연세대,고려대,이화여대. 끝. 이게 한국 대학들 과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