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세포사멸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차세대 형광 리포터를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미래형동물자원센터 김선욱 박사 연구팀이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세포사멸’ 과정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형광 리포터’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세포사멸 과정에서 ‘최종 집행자’ 역할을 하는 효소인 카스파제-3(caspase-3)에 주목했다.
이 효소는 특정 아미노산 서열(DEVDG)을 선택적으로 절단하는 특성이 있어 이를 GFP(녹색형광단백질) 내부에 정밀하게 삽입함으로 세포사멸이 일어날 때 형광이 소실되는 현상을 실시간으로 감지·측정할 수 있는 차세대 바이오 센서를 개발하였다.
현재까지 개발된 GFP 형광리포터 중에서 가장 심플한 작동방식과 초소형 디자인을 구현함으로써 센서의 민감도와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 독성물질 처리, 항암제 등 다양한 조건에서 세포사멸 과정을 현미경으로 실시간 추적할 수 있음을 검증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암세포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세포 모델에도 적용 가능하여 신약 후보 물질의 세포 독성 평가와 약물 효능 검증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알츠하이머병, 심장질환, 암 등 세포사멸과 관련된 질환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선욱 박사는 “우리가 개발한 센서는 기존 방법보다 훨씬 민감하고 간편하게 세포사멸을 관찰할 수 있어 향후 항암제와 같은 신약 후보 물질의 효능을 빠르게 검증하거나, 세포사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퇴행성 뇌질환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