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시험 농락·성추행 반복... 교통안전공단 왜 이러나
국가시험 농락·성추행 반복... 교통안전공단 왜 이러나
  • 유규상 기자
  • 승인 2025.10.16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 복기왕 의원 "자격시험 부정·평가위원 청탁·반복 성추행에도 봐주기 징계"
복기왕 의원
복기왕 의원

[충청뉴스 유규상 기자] #1. 한국교통안전공단 항공자격처 직원 B씨는 자신이 근무하는 부서에서 주관하는 운항관리사 국가자격시험에 몰래 응시했다. 근무시간에, 자신이 일하는 시험 상황실에서 시험을 치렀다. 합격한 뒤에는 본인의 시험결과를 직접 부서장에게 결재를 올렸다. 시험 관리자가 응시자가 되고, 그 결과를 스스로 승인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2. 같은 항공자격처의 직원 C씨 역시 국가자격시험을 농락했다. 경력이 미달하는데도 스스로 응시자격을 부여하고 항공정비사(헬리콥터 분야)시험에 접수했다. 시험 당일에는 처장에게 응시 사실을 숨긴 채 연차를 쓰고, 시험장 상황실에 있다가 평가위원에게 부적정한 청탁까지 했다. 평가가 끝나기도 전에 평가위원과 점심식사를 하며 식사비까지 계산했다.

#3. 교통안전공단 직원 A씨는 여성직원들에게 “너 왜 이렇게 예쁘게 생겼니”, “내 집사람이랑 너무 닮아서 그런 건데”라는 성적 언동도 서슴지 않았다. “여자는 애교가 있어야 해”라는 성차별적 발언까지 일삼았다. 그런데도 피해자들의 중단 요청 이후 즉각 중단됐다는 점을 받아들여 공단은 정직 2월로 징계를 마무리했다.

국민의 교통안전을 책임지는 한국교통안전공단 임직원의 비위가 충격적이다.

자신이 주관하는 국가자격시험에 몰래 응시하거나, 여성 직원을 반복적으로 성추행하는 일이 발생했다. ‘도덕적 해이’라는 말로도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비도덕적 일이 버젓이 자행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복기왕 의원이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최근 징계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38건의 징계 사례 중 경제비위가 11건(29.0%)으로 가장 많았고, 직무태만 9건(23.7%), 복합비위와 갑질이 각 6건(15.8%), 성비위 4건(10.5%), 인사비위 2건(5.3%)의 현황을 보였다.

징계 수위를 보면 경제비위 11건 중 6건(54.5%)이 파면이라는 가장 무거운 처분을 받았다. 금품수수나 국가자격시험 부정처럼 공공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한 사안에는 강력한 징계가 내려진 것이다.

문제는 나머지 5건이다. 같은 경제비위인데도 견책 4건, 감봉 1건으로 끝났다. 같은 유형의 비위라도 징계 수위에 큰 편차가 있다는 것이 복 의원의 설명이다. 징계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자아내는 것.

전체 38건 중 14건(36.8%)에서 징계가 경감됐다. 정직에서 감봉으로 8건, 감봉에서 견책으로 6건이 낮아졌다. 징계위원회가 내린 처분보다 한 단계 가벼운 징계가 최종 확정된 셈이다. 중대한 비위에도 ‘봐주기식 징계’ 가 반복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복 의원은 지적했다.

복기왕 의원은 “자신이 주관하는 국가자격시험에 몰래 응시하거나 응시자격을 스스로 부여하는 등 충격적인 비위행위가 놀랍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안전을 책임지는 교통안전공단이 청렴하고 책임감 있는 조직문화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징계 건수를 줄이는 것을 넘어 강력한 징계 원칙과 실효성 있는 재발방지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