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주석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수석은 5일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북한은 도발적 행위를 중단하고 6자회담에 즉각 복귀해 대화로 문제를 풀고 국제적인 비확산 노력에 부응해 나갈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서주석 수석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NSC 상임위원회를 연뒤 춘추관에서 발표한 정부성명을 통해 "북한은 이번 발사로 야기되는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서 수석은 "우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발사를 강행한 것은 국제사회의 대북강경론 입지를 강화함으로써 북한의 국제적 고립을 심화시킴은 물론 동북아 군비증강의 빌미를 제공함으로써 역내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서 수석은 이어 "남북한 관계에서도 우리국민의 대북정서를 악화시키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현명치 못한 행위로서 심각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서 수석은 이와관련해 "우리 정부는 관련국들과 대응책을 긴밀히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 수석은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기수와 관련해 "정보당국의 현재까지 판단결과 대포동 2호 한발과 노동 및 스커드급 중장거리 미사일 5발을 발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구체적인 것은 계속해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 수석은 "3시 32분부터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 소재 발사장과 5시 함북 화대군 대포동에서 각각 동해를 향해 대포동 2호와 수발의 노동 및 스커드급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대포동 2호는 발사후 동해상에 추락해 실패한 것으로 현재까지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서 수석은 "북한이 일단은 미사일 발사 능력을 보유한 발사체라고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 수석은 "미사일 발사로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수 없다고 판단한다"며 "다만 구체적인 조치는 상황을 봐가며 여러 협의를 통해 결정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오전 NSC 상임위원회에 이어 오전 11시에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열어 관련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