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양새 구긴 김병준 부총리의 앞길은?
모양새 구긴 김병준 부총리의 앞길은?
  • 편집국
  • 승인 2006.07.28 13: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나라 "잘못된 코드인사 자진사퇴 해라", 靑 "도덕성 시비 경질할 사안 아니다"

김병준 교육부총리가 자신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나섰지만, 교육수장으로서의 도덕성 논란은 계속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는 경질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지만,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 학계 일각에서는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김병준 부총리가 취임하자 마자 불거진 도덕성 논란으로 교육 수장으로서의 '영'이 제대로 서지 않고 있다.

김 부총리는 27일 교수재직시절 교육부로부터 2억여원의 지원비를 받아 연구한 자신의 동일한 논문을 전혀 다른 별개의 논문인 것 처럼 보고한 사실에 대해선 곧바로 공식 사과했다.

김 부총리는 "보고하는 과정에서 실무자의 실수가 있었던 것 같다"며 "연구 당사자가 최종 책임자인 만큼 나에게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그러나, 제자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부끄러울게 전혀 없다고 밝혀 자신사퇴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청와대 역시 이번 도덕성 시비가 경질할 만한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에선 김 부총리의 교육수장 임명부터가 잘못된 코드 인사였다며 자진사퇴를 강력 주문하는 등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나경원 대변인은 "김 부총리는 자신을 둘러싼 표절 의혹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라"고 정면 비판했다.

일부 학부모.시민단체는 물론 학계 일각에서도 교육수장으로서의 도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자진사퇴 하는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 나오고 있다.

교육부총리로서 출발도 제대로 하기전에 도덕성 시비에 휩싸여 모양새를 구긴 김 부총리. 자진사퇴 여부에 상관없이 교육수장으로서의 앞길이 그다지 평탄할 것 같지가 않다.김병준 교육부총리가 자신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나섰지만, 교육수장으로서의 도덕성 논란은 계속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는 경질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지만,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 학계 일각에서는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김병준 부총리가 취임하자 마자 불거진 도덕성 논란으로 교육 수장으로서의 '영'이 제대로 서지 않고 있다.

김 부총리는 27일 교수재직시절 교육부로부터 2억여원의 지원비를 받아 연구한 자신의 동일한 논문을 전혀 다른 별개의 논문인 것 처럼 보고한 사실에 대해선 곧바로 공식 사과했다.

김 부총리는 "보고하는 과정에서 실무자의 실수가 있었던 것 같다"며 "연구 당사자가 최종 책임자인 만큼 나에게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그러나, 제자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부끄러울게 전혀 없다고 밝혀 자신사퇴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청와대 역시 이번 도덕성 시비가 경질할 만한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에선 김 부총리의 교육수장 임명부터가 잘못된 코드 인사였다며 자진사퇴를 강력 주문하는 등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나경원 대변인은 "김 부총리는 자신을 둘러싼 표절 의혹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라"고 정면 비판했다.

일부 학부모.시민단체는 물론 학계 일각에서도 교육수장으로서의 도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자진사퇴 하는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 나오고 있다.

교육부총리로서 출발도 제대로 하기전에 도덕성 시비에 휩싸여 모양새를 구긴 김 부총리. 자진사퇴 여부에 상관없이 교육수장으로서의 앞길이 그다지 평탄할 것 같지가 않다.김병준 교육부총리가 자신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나섰지만, 교육수장으로서의 도덕성 논란은 계속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는 경질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지만,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 학계 일각에서는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김병준 부총리가 취임하자 마자 불거진 도덕성 논란으로 교육 수장으로서의 '영'이 제대로 서지 않고 있다.

김 부총리는 27일 교수재직시절 교육부로부터 2억여원의 지원비를 받아 연구한 자신의 동일한 논문을 전혀 다른 별개의 논문인 것 처럼 보고한 사실에 대해선 곧바로 공식 사과했다.

김 부총리는 "보고하는 과정에서 실무자의 실수가 있었던 것 같다"며 "연구 당사자가 최종 책임자인 만큼 나에게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그러나, 제자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부끄러울게 전혀 없다고 밝혀 자신사퇴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청와대 역시 이번 도덕성 시비가 경질할 만한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에선 김 부총리의 교육수장 임명부터가 잘못된 코드 인사였다며 자진사퇴를 강력 주문하는 등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나경원 대변인은 "김 부총리는 자신을 둘러싼 표절 의혹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라"고 정면 비판했다.

일부 학부모.시민단체는 물론 학계 일각에서도 교육수장으로서의 도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자진사퇴 하는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 나오고 있다.

교육부총리로서 출발도 제대로 하기전에 도덕성 시비에 휩싸여 모양새를 구긴 김 부총리. 자진사퇴 여부에 상관없이 교육수장으로서의 앞길이 그다지 평탄할 것 같지가 않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