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기초단체장들 "인구수 따른 차등지급 말고 일원화해달라" 건의…대부분 재정상태는 바닥 |
| 부산시내 기초자치단체들이 세수 감소로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단체장들이 사실상의 연봉인상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6천7백만원, 인구 15만 미만의 시군구청장이 받는 연봉이다. 부산에서는 중구,동구,서구, 강서구, 기장군이 여기에 해당된다. 인구가 15만 이상되면 연봉은 7천2백만원, 경기도 수원시처럼 인구가 50만 이상을 넘으면 연봉은 7천9백만원까지 올라간다. 이처럼 인구규모에 따라 차등지급되고 있는 기초자치단체장의 연봉을 일원화 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이 CBS 취재로 확인됐다. 연봉일원화는 지난 8월 말 열린 '기초자치단체장 공동회장단 회의 구청장 분과'에서 행정자치부 건의사항으로 처음 상정된 뒤 부산지역 구군청장협의회 등에서 매달 회의 안건으로 상정돼 공론화과정을 거치고 있다. 연봉일원화는 민선자치단체장의 위상제고를 위해 현재 연봉이 다른 단체장을 똑같이 처우해달라는 것으로, 실제로는 인구수와 상관없이 연봉 수준을 상향 조정해 달라는 얘기나 다름없다. 하지만 행정자치부는 이런 건의에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행자부 관계자는 “인구 백만인 수원시장과 모두 같게 해주면 곤란하지 않겠나,주민감정도 있고. 장기적인 연구과제로 고민해야 한다”고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게다가 연봉제 일원화를 건의한 부산 모 구청장이 소속된 구청은 내년 예산부족을 걱정할 정도로 재정사정이 어렵다. 이 구청뿐 아니라 대부분의 자치단체들은 올해 종합부동산세 신설로 지방세수가 급감해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기초자치단체장들이 어려운 재정사정을 나몰라라 하며 사실상 자신들의 연봉인상을 추진하고 나선 데 대해 해당 주민들의 반응이 어떨지는 불을 보듯 뻔하다. |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